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요즘은 금리가 계속 오르는 시대인데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지금은 금리상승 사이클이고, 아직 미국 연준을 중심으로 각국의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어떻게 펼칠지 예상하기 굉장히 힘든 시점입니다. 코로나 위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사태 등, 메크로 상황 또한 변동사항이 극심하여, 경기지표등의 방향성도 매우 불확실한 상황에 놓여있습니다.제가 투자에 대한 조언을 드리자면, 우선 레버리지를 활용한 투자는 절대로 피하시고, 일정 금액은 현금성 자산 즉 예/적금에 넣어서 이자 수익을 확정하시고, 주식 투자도 하셔야겠다느 생각이 있으시다면, 조급함을 우선 버리시고, 현금창출이 확실히 있는 것에 더해서 성장성 기대되는 기업에 천천히 분할 매수 할 것을 추천 드립니다.저의 답변이 도움되기를 바랍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6
0
0
금리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저금리여서 투자할 곳이 마땅하지 않다라는 것은 아마 은행 예적금 금리나 낮다라는 뜻인 것 같습니다.질문자님 지적처럼, 저금리인 경우에는 풍부한 유동성으로 인한여 주식 등 자산 가격이 상승할 수 있는 여지가 많기 때문에, 공격적인 투자를 해야하는 것이 맞습니다.그리고 낮은 이자율은 디플레이션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집니다. 디플레이션은 경기가 침체되어있는 상황에서 발생을 합니다. 따라서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기준금리를 낮춰서 화폐가치를 떨어뜨리고, 사람들에게 수요, 기업들에게는 투자를 증가시킬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 입니다.이자가 낮아지갈 바라는 것은 현재는 부채 경제라고 할 정도로, 선진국 중심으로 부채 규모가 아주 커진 상황입니다. 한국은 가계부채가 심각한 수준이고요.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이 커지고, 수입이 고정되어있는 상황에서는 가처분 소득이 낮아서 수요여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자가 낮아지길 바라는거 같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6
0
0
미국의 SEC는 어떤 역할의 기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는 미국 증시를 감시 감독하는 미국 대통령 직속의 독립 관청으로서 준사법적 권한까지 가지고 있다. 한국의 금융감독원과 비슷한 역할을 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6
0
0
경제,금융 시장에서 투자와 투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투자는 본인이 자금을 투입하고하 하는 자산에 대한 이해를 충분히 하고, 가치 상승시 이익을 누리는 행위라고 생각하고요. 투기는 그런 과정을 생략하고, 단순히 도박성으로 홀짝 게임하듯이 돈을 투입하는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6
0
0
미국 연준은 예상대로 0.5프로 빅스텝 했다는데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그제 FOMC 회의가 끝난 뒤, 50bp의 기준 금리 상승이 이루어졌고 이제 기준금리는 4.25~4.5%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가 중요한데요. 점도표를 보시면, 내년도 적정 기준금리는 5.0%-5.25%로 즉 75bp의 금리인상이 이루어질수 있다는 메세지를 시장에 던졌습니다.확정적인 상황은 아닙니다만, 현재의 인플레이션 상황이 이어지도, 금융시장에 큰 쇼크가 없다면 김축 기조 즉 금이인상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것 같습니다.
경제 /
예금·적금
22.12.16
0
0
고정비와 변동비는 어떤 개념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고정비는 생산량 혹은 판매량의 변동과 상관 없이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예를 들자면 인건비, 임대료, 감가상각비 등에 해당 됩니다.비례비는 생산량 혹은 판매량의 변동에 비례하여 증감이 있는 비용 입니다. 예를 들자면 원료비, 운송비 등에 해당 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2.12.15
0
0
자산시장이 상승하면 인플레이션도 상승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자산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부의 효과" 로 인하여, 예전보다 부자가 되었다는 심리가 상승하면서 소비가 증가하게 뒵니다. 이렇게 된다면 수요가 증가하면서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5
0
0
코인시장에서 에어드랍이라는 경제용어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인 에어드랍은 기존 암호화폐 소유자들에게 무상으로 코인을 배분하여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주식에서 '무상증자'와 유사한 개념 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5
0
0
채권금리와 채권가격은 왜 반대로 움직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각각 발행 된 채권의 금리(쿠폰)은 고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채권은 시중에서 거래가 될수 있는 점을 먼저 설명 드리고요. 예금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질문자님이 1000만원짜리 예금을 이율 3%에 1년동안 고정 금리로 계약을 하였고 이것은 해지가 안되는 상품 입니다. 하지만 한달 뒤에 5%로 금리기 상승했다고 한다면, 앞서 계약한 2%의 이자만큼 손해를 보게 되고 해당 상품은 그만큼 가치가 떨어져야만 시장에서 유통이 가능 할 것 입니다.저 예금을 이제 채권으로 바꿔서 생각해보시면 이해하기 쉬우실꺼에요 ㅎㅎ추가적으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주시면 설명 드리겠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5
0
0
최근 금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데 그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금리 인상 기조 완화로 인한 달러 약세와 함께, 내년도 이후 경기 전망이 불안정함에 따라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올라가고 있습니다.최근에는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금 매입을 늘리고 있다는 뉴스도 링크 첨부 드립니다.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Amp.html?idxno=609524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15
0
0
1171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