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전선의 길이가 길면 전자기기 충전하는 속도가 느린가요??
전선, 즉 케이블도 자체적으로 저항이 있기 때문에 길이가 길어질수록 저항도 높아집니다. 저항이 높을수록 전력 손실이 발생하여 충전 속도가 느려집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07
0
0
전철이나 고속열차는 앞뒤가 없이 다니는데,그럼 바퀴는 양쪽으로 굴러가는가요?
질문자 님이 설명하신 방식은 '동차'방식이라고 해서, 고속 열차 등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기관사가 반대편의 운전실로 이동하여 열차를 운행하는 방식입니다. 지하철 등은 그런 방식으로 운행합니다.다른 방식으로는 종점에 도착하면 기관실만 분리하고, 다른 방향의 기관실 열차와 결합하는 방식입니다.하지만 지금 코레일에서 운행하는 대부분의 방식은 '전차대'라는 시설을 이용해서, 반대방향으로 열차를 회전하는 방식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04
0
0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려면 얼마나 걸리나요?
양자컴퓨터의 연구가 발전하고 있지만, 상품으로 출시가 되려면 우선 수요가 있어야 합니다.지금 출시된 pc의 성능으로도 각종 사무, 연구, 작업 등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데,값비싼 양자컴퓨터가 출시된다면, 가격 경쟁력, 활용도 등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03
5.0
1명 평가
0
0
와이파이기기옆에 선풍기를 두면 신호가 끊어지나요?? 아니면 속도가 느려지나요?? 영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선풍기의 바람때문이 아니라, 선풍기의 모터에서 방출하는 전자파가 영향을 미친다고는 하는데,실제로는 선풍기의 모터에서 발산되는 파장은 그렇게 큰 영향은 없다고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02
0
0
Ai의 개발은어려가지 문제점이 있는것같습니다
과거 영국의 산업혁명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사람들은 기계가 자신들의 일자리를 빼앗을거라고 생각했지만,결국 인가의 문명은 거기에 맞춰서 발전했습니다.이번 이슈화 되고 있는 AI도 마찬가지입니다.물론 AI가 나날히 진보되고 발전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인간의 인식, 생활 등도 그것에 맞춰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01
0
0
컴퓨터나 전자기기는 왜 두드려야 작동이 잘되나요?
과거, 90년대까지만 해도, 전자기기가 작동이 안될때, 때리면 작동이 되는 경우가 많았는데,그것은 대부분이 납땜이 100%완벽하지 않아서 접촉, 연결 등이 완벽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납땜, 수땜 작업도 수작업이 대부분이었기때문입니다.하지만 지금은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인해서, 그런 현상은 거의 없어졌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6.01
0
0
디도스 공격이 뭔가요? 궁금해요~~
디도스 공격은 '분산서비스 공격(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이라는 의미로, 여러 개의 pc 혹은 여러 개의 장치로 어느 서버의 트래픽을 폭주하게 하는 데이터 전송을 방해하는 것입니다. 즉, 여러 개의 컴퓨터로 어느 서버에 접속하거나 혹은 접속-재접속을 반복하여 접속량을 폭주하게 하는 것입니다. 디도스 공격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5.30
0
0
번개가 치면 주위 전자기기에 영향이 있다고 하는데요 . 그 이유가 번개가 치면 그 번개로 인해서 자기장이 발생되어서 전자기기에 영향을 주는 건가요??
천둥번개로 인해서 과전류, 전압 서지 등으로 인해서 전자회로나 배선 장치에 영향을 줄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출시된 대부분의 전자제품들은 고전압을 보호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번개가 친다고 해서 그렇게 큰 영향은 없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5.29
0
0
스마트폰도 컴퓨터처럼 디도스 같은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가 있나요??
스마트폰도 일종의 컴퓨터입니다.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OS가 필요한데, 그게 바로 안드로이드입니다.그리고 안드로이드에 악성코드, 바이러스 등을 설치해서 해킹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5.29
0
0
반도체 공장에서는 어느정도 전력을 소모 하나요?
반도체 공장은 24시간 365일을 계속 가동해야 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엄청나게 높습니다.신문 기사에 의하면, 삼성전자의 경우, 2022년에는 국내 반도체 공장의 전력 사용량이 2만8316GWh였다고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5.27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