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기계발에 투자??저금??어떤게 우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장기적으로는 자기계발을 통해 성장하고, 나의 인건비를 올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현재의 급여수준에 만족하고 자기계발 없이 저축만 한다면 리스크가 있어보입니다.물론 안정적인 직장이나 직업이라면 조금 다르지만 일반 직장인이거나,전문직 등이라면 지속적으로 본인의 경쟁력을 키워야 급여도 오르고, 이직도 자유로워지는데,그런 자기계발을 하지 않는다면 혹시라도 회사가 어려워져 퇴직하거나 하는 상황에서모아둔 돈만을 가지고 생활하거나, 오히려 더 안좋은 조건으로 이직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이에 저축도 중요하지만 어느정도의 자기계발에 투자하는 것은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9.01
0
0
결혼시 비상금은 얼마정도 챙겨가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비상금의 용도를 어떤 것으로 생각하고 조언해주신 것이냐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질문자님 개인의 비상금 개념이라면 당연히 많을 수록 좋긴 할 것입니다.결혼 후에는 어느정도 모아서 관리하는 것도 있을 것이고,소득과 저축, 지출에 대한 부분을 공유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일종의 비자금 개념으로챙겨두시면 개인적으로 하는 투자, 소비 등에서 좀 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공동으로 하는 결혼 준비에 문제가 없는 선에서 준비할 수 있는 만큼 준비하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9.01
0
0
적금과 투자의 비율은 어느정도가 적절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처음이시라면 너무 무리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지금까지 저축만 해오신 것을 봤을 때, 안전지향적 성향이 강하신 것 같은데,코인의 경우 변동성이 상당히 큰 편이기 때문에현금비중을 넉넉하게 챙긴다는 개념으로 접근하시고,투자금에 따라 조금 상이할 수는 있지만 일단은 2-30% 정도만 해보시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9.01
0
0
공부할때 암기와 이해 어느 쪽에 더 비중을 둬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사실 빠르게 시험을 준비할 때, 문제은행 식의 시험일 때에는 암기가 가장 효과적입니다.꽤 많은 시험들이 암기를 잘하면 잘 볼 수 있게 되어 있기도 합니다.다만, 오래 기억에 남고, 나중에 잘 써먹기 위해서는 이해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하기는 합니다.이에 시간이 좀 많이 있다면 이해를 하시면서 공부하시는 것이 무조건 좋다고 생각합니다.현재 시험기간이 얼마 남지 않다고 하셨으니 최대한 외우는 쪽으로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기는 합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9.01
0
0
만약에 90억이 있다고 치면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어느정도 사치를 부려도 혼자 사는데는 무리가 전혀 없을 것 같습니다.40년을 산다고 하고 재테크 없이 85억(주거 5억 제외)을 사용만 한다고 해도,연간 2.1억을 사용하며 살 수 있는데요.웬만한 직장인 연봉이 1억을 넘기기 힘든데, 연봉이 2억이 넘는 것이니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여유롭게 살고도 남을 것 같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9.01
0
0
축적된 퇴직금을 중도정산 가능한 방법이 있을 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주택 구매 목적이라면 퇴직금 중간정산이 가능합니다.퇴직금 중간정산은 몇가지 정해진 목적 하에서만 가능한데,주요 목적 중 하나가 주택 구매입니다.이에 말씀하신 목적으로 회사에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인사팀이나 총무팀 등 급여를 관리하는 분께 확인 후 요청하시면 됩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9.01
0
0
부모님 용돈을 얼마나 드리는게 적절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사실 꼭 드려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요즘 청년들이 돈을 모으기가 굉장히 힘들고,자취를 할 경우 돈 나갈 곳이 너무 많기 때문에 가능한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는 것은 좋은 선택인데요.이에 부모님이 아직 돈을 버신다면 집안일을 돕는 등 최대한의 성의표시를 하는 것도 좋다 생각합니다.다만, 눈치가 많이 보이거나 부모님께서도 부담을 조금씩 느끼신다면 조금씩 생활비를 보태는 것은 좋은데요.사람마다 월 급여나 재정 상황이 다르니 금액수준을 정하기는 어렵지만, 한번 드리면 줄이기는 어렵기 때문에최대한 매월 드려도 부담이 되지 않는 선에서 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너무 적다고 느껴져도, 점차 늘려보겠다고 예쁘게 말한다면 너무 좋아하실 것 같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9.01
0
0
소소한 카페나 배달비를 줄이면 큰 절약으로 이어질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사실 식비나 커피값 같은 돈은 얼마 안한다고 생각해 크게 고려하지 않고,상대적으로 큰 쇼핑에 대한 비용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하지만실질적으로는 매일 소비하는 식비나 커피비용 등을 줄이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물론 먹지 않을 수는 없지만 그 안에서 최대한 절약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9.01
0
0
충동구매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가계부를 써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또, 추가로 구매하고 싶은 물건이 생기면 바로 구매하지 말고적어둔 뒤, 그날 저녁 그리고 다음날 이렇게 다시한번 봐보시길 바랍니다.그럴경우 당시 사고자하는 마음이 조금 누그러들고 진짜 필요한지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기도 합니다.
경제 /
자산관리
25.09.01
0
0
주식, 코인할때 왜 차트가 급등하면 따라 들어가고 싶어지는 심리가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보통 급등하는 주식이나 코인을 보면 추격매수를 하는 분들이 많은데요.심리적으로 급등하는 것을 보면 매수자들이 돈을 벌고 있는 것이 상상이 가고,나도 지금 들어가면 큰 돈을 벌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게 됩니다.또, 빠르게 상승을 이어갈 때라 잠깐만 들어갔다 나올까 라는 생각도 하기 쉽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9.01
5.0
1명 평가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