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교과서 중심 수업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중 어느것이 더 효과적이죠?
안녕하세요. 김상흠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장단점이 있습니다. ㅎㅎ 강의식과 토론식도 토론식이 좋은 것처럼 여겨지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요즘은 어느 방식이 더 좋다기 보다는 서로 장단점이 있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강의식이 필요한 수업, 토론식이 필요한 수업 말이지요.교과서 중심, 프로젝트 기반도 마찬가지입니다. 성취기준이라는 큰 틀안에서 어떤 방식으로 교육을 하냐의 차이입니다. 서로 장단점이 있지요. 교과서 중심은 수업 준비시간이 프로젝트 수업보다 적게듭니다. 또한이론 수업을 진행하는데 조금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프로젝트의 경우 준비시간이 오래걸리더라도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여력을 길러준다는 점, 주로 실습 위주라는 점이 장점입니다.
Q. 초등학교 2학년 아이에게 용돈은 얼마나 줘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상흠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용돈을 얼마나 주어야할지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혼자 고민하시기 보다는 아이와 같이 고민하는 것이 좋습니다. 글쓰기, 발표, 경제개념까지 한번에 잡아보시지요. ㅎㅎ경제교육을 위한 첫걸음은 용돈 관리입니다. 무작정 부모님이 얼마 정해서 주는 것이 아니라 협의를 통해 서로 충분히 원하는 바를 들어본 뒤 결정해야 교육효과가 있습니다.용돈 관리의 방법 중 중요한 것은 아이와 협의하는 것입니다. 용돈은 아이와 협의하여 결정하는 것이지요. 아이에게 일주일에 용돈이 얼마나 필요한지, 용돈을 받으면 보통 어디에 사용할건지, 왜 필요한지 등을 간단히 글로 적어 발표하도록 합니다. 논리적으로 근거를 들어 쓰라고 이야기합니다. 이야기를 들어보시고 너무 많다 적다 판단하셔서 용돈을 협의하시면 되겠습니다. 간단히라도 아이가 스스로 고민해보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ㅎㅎ용돈을 주기로 했으면 사용권한을 최대한 아이에게 맡기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건 사도된다 안된다를 이야기하기보다 용돈 내에서는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지원해주시고 믿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나중에 용돈 인상해달라고 하면 마찬가지로 얼마가 필요한지 왜 필요한지 등을 글로적어 협의하시고 인상여부를 결정하시면 되겠습니다.용돈 교육을 통해 원하는 경제교육이 이루어지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 아이와 함께 놀만한 놀이거리?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상흠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와 함께 꾸준히 놀만한 것은 보통 실내활동들이 많습니다. ㅎㅎ 실내활동들은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시원하게 보낼 수 있지요.보통은 아이들과 실내운동을 많이들 합니다. 수영, 스케이팅 등 실내스포츠는 부모와 아이가 같이 즐기기에 좋지요. 실내운동보다 집에서 활동하는 것이 좋다면 당연 보드게임입니다.유익하면서도 즐겁고 쉽게 할 수 있는 취미는 당연 보드게임입니다. 나이가 어려도 쉬운 보드게임을 통해 연령불문으로 즐겁게 활동할 수 있습니다. ㅎㅎ 보드게임을 통해 즐거움뿐만 아니라 규칙에 대한 이해, 규칙에 기반한 전술, 창의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아이와 부모님이 같이 할 수 있기도 하지요 .ㅎㅎ쉬운게임부터보드게임을 조금 설명드리면 저학년부터 고학년, 어른까지 쉽고 재밌게 할 수 있는 보드게임은 도블, 할리갈리, 펭귄얼음깨기, 텀블링 몽키 등이 있습니다. 비교적 규칙이 단순하고 쉬운 게임이지만 재미도 충분합니다.위의 게임보다 조금 생각이 필요하지만 즐겁게 할 수 있는 보드게임이 있습니다. 나중에 아이가 초1~2학년 이상 되었을 때 하시는 것이 편할 것 같긴합니다. ㅎㅎ 사보타지, 다빈치 코드, 스플렌더, 루미큐브 등이 있습니다. 머리를 쓰는 보드게임이 하고싶다면 추천합니다. 저학년은 조금 어려워 할 수 있습니다!어떤 보드게임을 골라야할지 모르겠다면 보드게임카페에 방문하여 즐겨보시고 재밌었던 보드게임들을 사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아이들과 즐거운 시간 보내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