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투우문화는 어떻게 해서 시작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투우의 기원은 다양한 버전들로 전해져 내려온다. 먼저 스페인 북부 알타미라와 알바라신 산맥 등지의 동굴벽화에 야생 들소가 묘사된 것을 두고, 석기시대 사람들이 날렵함과 정교함등 '기술'을 활용하여 황소를 포획하는데서 투우가 기원했다는 썰이 있다. 다른 버전의 기원은 고대 이베로족의 종교의식으로 전해지는데, 이베로족은 종교의식에 참여한 관중들 앞에서 황소와 대결하고 이를 신에게 바쳤다고 한다. 통상적으로 우리가 접하는 영상 속 투우 경기의 형태, 그러니까 투우가 '쇼비즈니스화'하기 시작한 때는 원형경기장이 만들어진 로마시대부터이다. 용맹한 이베리아 황소들이 많이 서식한 스페인에서 유독 활성화 됐던 것 같다. 이슬람 세력이 스페인의 대부분을 장악하던 국토수복전쟁때에는 이슬람이 지배하던 지역인 알-안달루스에서는 투우가 성행하지 않았지만, 가톨릭 왕국이 지배하던 곳에서는 성행했다고 한다. 스페인 중세시대에 투우는 귀족의 스포츠였다. 귀족들은 자신의 용맹함을 뽐내기 위해 긴 창을 들고 황소와 겨뤘다고 한다.투우가 민중의 관심사로 등극하게 된 것은 18세기부터다. 위에서 본 그림 속 엘시드는 소와 겨룰 때 '말'을 타고 있었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투우사들은 땅에서 직접 소와 대립했고, 이때부터 경기 룰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안달루시아 론다 출신의 프란시스코 로메로가 오늘날 투우 경기에서 가장 마지막에 등장하는 마타도르(Matador)r가 사용하는 붉은 천(Muleta)을 들고 소와 정면대결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투우 경기 형태와 유사하다고 한다. 투우 경기에는 총 6명의 투우사들이 등장하는데, 가장 마지막에 등장하는 마타도르(죽이는 사람이라는 뜻을 지닌 스페인어)가 물레타를 들고 소와 대결하는 장면이 하이라이트라고 한다.유난히 뛰어난 경기력을 보이는 소에게 관중들은 'Libre!'을 외친다. 자유라는 뜻을 가진 스페인어로, 소를 풀어줘라라는 뜻인다. 이때 경기 위원장은 오렌지 빛 손수건을 내거는데 이는 '소의 사면'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