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요셉 성악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요셉 성악전문가입니다.
강요셉 전문가
프리랜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음악
2024년 11월 9일 작성 됨
Q.
음악을 하다가 성대결절에 걸릴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성대는 근육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운동할때도 근육이 피로하거나 무리해서 사용하면 문제가 생기는것과 마찬가지로 무리하게 사용하거나 목감기나 기침을 많이 하는 감기로도 성대결절이 생길 수 있고 잘못될 발성으로 노래를 해도 성대결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9일 작성 됨
Q.
악기중에 가장큰 악기는 어떤 악기가 가장 큰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악기중 가장 큰 악기는 현악기로는 콘트라 베이스이고 관악기로는 스자폰 입니다 콘트라 베이스 악기는 오케스트라에 사용이 되며 스자폰은 중고등학교 밴드부와 군대 군악대에서 주로 사용이 되는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하모닉 마이너 라는게 무슨스케일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하모닉 마이너 스케일이란 자연 단음계 구성음 중 제 7음을 반음 올린 음계입니다. 스케일을 구성하는 음중에서 제 7음을 이끎음이라고 하지요. 리딩톤은 으뜸 음에서 반음 아래의 음으로 선율을 안정된 음으로 옮기는 성질을 가진 음을 말합니다.그래서 약간 아라비안 느낌이 나기도 하는 스케일입니다. 마이너 스케일에는 내추럴 마이너 스케일과 하모닉 마이너,선율 단음계,재즈 마이너로 나뉘고 있습니다
음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오스트리아 오페라인 장미의 기사는 누가 대본을 쓴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오페라 작곡가와 대본가로 환상의 콤비를 이루었던 리히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4-1949)와 휴고 폰 호프만스탈(Hugo von Hofmannsthal,1874-1929)은 1900년 경에 서로를 알게 되었고 두 사람이 협업을 시작한 것은 1909년 독일 드레스덴에서 초연된 오페라 "일렉트라"부터였습니다. 이 작업이 끝나자 슈트라우스는 모차르트 희극같은 오페라를 만들고 싶으니 적당한 소재를 골라 대본을 써 달라고 호프만스탈에게 부탁했고 한동안 고심한 호프만스탈은 드디어 작곡가의 마음에 꼭 드는 스토리를 구상해냈답니다. 이렇게 해서 1911년 드레스덴에서 초연된 작품이 18세기 중엽 마리아 테레지아가 지배하던 합스부르크 왕정시대 빈을 배경으로 한 오페라 "장미의 기사"였습니다. 장미의 기사란 우리말로 옮기면 함진아비쯤 되는 청혼의 전령을 뜻합니다. 18세기 빈의 귀족사회에서는 양가의 혼담이 이루어진 뒤에 신랑 쪽 친척 한 사람이 신부될 처녀에게 은으로 만든 장미를 예물로 전달해 정식 청원의 예를 가지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때 은장미를 들고 오는 친척 청년을 "장미의 기사"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음악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플룻이 왜 목관악기 쪽으로 편성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요셉 전문가입니다.플룻은 규칙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도록 개량을 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나무로 만들어진 플룻에서 발생됐던 문제점들이 금속으로 바뀌면서 보완이 됐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나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목관악기에 속했고 지금까지도 목관악기로 불리우고 있는 것이랍니다 플룻을 목관악기로 구분하는 이유는 또 있는데 소리를 내는 방식이 금관보다는 목관악기에 가까워서입니다. 관악기는 소리를 낼 때 입술 진동 이용 여부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뉘는데 목관악기는 입술을 진동시킬 필요 없이 관의 숨만 불어넣으면 관 속의 공기가 진동해 소리가 납니다. 반면 금관악기는 관입구의 마우스피스에 입술을 붙이고 떨어서 소리를 만들지요. 입술이 악기의 일부인 셈인데 플룻은 목관악기처럼 바람을 불어 넣어 연주하기 때문에 목관악기라고 합니다.
71
72
73
74
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