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강정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정우 전문가입니다.

강정우 전문가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산부인과 이미지
Q.  임신극 초기 코로나로 39도 고열 발생시 유산 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소아과 강정우 의사입니다.임신 중 발열에 의해 ADHD와 같은 신경정신 질환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보고는 있습니다. 유산이나 선천성 기형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도 있으나 그 관련성이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습니다. 따라서, 미리 걱정하시기 보다는 최대한 적극적으로 발열 조절하시고, 아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가정하에(실제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소수) 산전 진찰을 꾸준히 잘 받으시면 되겠습니다.# 참고The results indicate that maternal fever in early pregnancy may be a risk factor for ADHD, and particularly for inattention problems. Children exposed twice or more in the first trimester, had more than doubled odds of receiving an ADHD diagnosis compared to unexposed children. This risk was neither mitigated nor increased by use of acetaminophen.(Gustavson, K., Ask, H., Ystrom, E. et al. Maternal fever during pregnancy and offspr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i Rep 9, 9519 (2019). https://doi.org/10.1038/s41598-019-45920-7)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독감과 코로나가 같이 걸릴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소아과 강정우 의사입니다.코로나도 결국은 호흡기바이러스의 한 종류이며 인플루엔자(독감) 역시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중복감염은 충분히 발생할 수 있고 실제로도 호흡기바이러스 검사를 해보면 2~3개의 바이러스가 중복으로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다만, 코로나는 면역저하자 등 치료의 대상이 되는 사람이 따로 있고 독감은 모든 사람에게 치료약(oseltamivir)가 존재하므로 중복 진단시 코로나는 증상 조절약만, 독감에 대해서만 우선 치료하시면 되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고지혈증을 약말고 어떻게 치료를 하는것이 좋나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이상지질혈증의 원인이 되는 콜레스테롤은 혈관벽에 쌓여 죽상경화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기도 하므로 조절이 필요합니다. 이상지질혈증은 식이요법으로 우선 조절해볼 수 있지만, 조절이 잘 되지 않거나 너무 높을 경우엔 약물치료가 필요합니다. 식이요법은 대개 식사 조절과 함께 적절한 운동이 중요합니다. 섭취하는 지방량을 총 칼로리의 25~35%로 제한하고, 모든 동물성 기름과 버터, 쇼트닝, 코코넛 기름과 팜유 등의 포화지방산은 전체 칼로리의 10% 미만으로 제한합니다. 오메가 3계 지방산(등푸른생선류)과 오메가 6계 지방산(옥수수기름 등) 등도 함께 제한하도록 합니다. 약물적 치료의 기준은 연령, 위험요소, 콜레스테롤 종류에 따른 수치 등에 따라 복잡하므로 약물치료 필요성 여부는 의료진과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정신과약을 9년간 먹고 있는데 끊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정신과에서 약물요법은 가장 핵심적인 치료 중 하나로서 대개 장기간의 약물치료를 필요로 하고 특히 약물을 갑작스럽게 감량 또는 중단할 경우 증상이 쉽게 재발할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약물의 조절은 주치의 판단하 엄격히 시행되어야 하며, 번거롭더라도 무증상 유지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꾸준한 약물 복용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맹장은 결국 수술을 해야 하는지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의사입니다.맹장염의 치료는 대개 수술, 최근에는 경우에 따라 약물적 치료도 고려하는 추세이긴 합니다만 예방적으로 수술을 시행하지는 않습니다.
1461471481491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