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 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 입니다.
곽주영 전문가
썬라이즈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용어
2024년 7월 14일 작성 됨
Q.
'캐시카우'라는 용어를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캐시카우는 꾸준히 이익을 창출하고 현금을 생산해내는 기업, 상품, 사업 등을 의미합니다. 높은 수익성과 안정적인 성장성을 보유한 사업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두산밥캣은 두산 그룹의 캐시카우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7월 14일 작성 됨
Q.
주기적으로 시장이 폭락한 사례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1929년 경제 대공황, 1987년 블랙먼데이, 1997년 아시아금융위기,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 2020년 코로나 19 팬데믹 등이 주식시장이 폭락한 대표적인 사건들입니다.
경제동향
2024년 7월 14일 작성 됨
Q.
물가를 계산 할 때 조사 대상 품목에는 어떤 상품들이 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소비자물가지수는 가계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품목 선정 기준에 따라 식료품, 주택, 의류 및 신발, 가사서비스 등 다양한 품목이 조사대상에 포함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7월 14일 작성 됨
Q.
미국채는 몇년물이 가장 일반적이고 거래가 많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가장 많이 주목받는 미국채는 10년물인것 같습니다. 언론이나 전문가들의 가장 많은 관심을 받는 것이 미국채 10년물 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7월 14일 작성 됨
Q.
이더리움도 발행량에 제한을 두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이더리움의 발행량은 비트코인처럼 정해져 있지 않고 무제한 발행이 가능합니다. 매년 새로운 이더리움이 계속해서 발행되고 있습니다.
경제용어
2024년 7월 14일 작성 됨
Q.
'경제 고통 지수'가 무엇인지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경제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실업률을 합산한 지표입니다. 경제학자 아서오쿤이 제시한 개념으로 지수가 높을수록 국민들의 경제적 고통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제고통지수 계산방법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실업률 입니다.
경제정책
2024년 7월 14일 작성 됨
Q.
'실업률'은 어떻게 산정하는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 대비 실업자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만 15세 이상 인구중에서 일하거나 일자리를 찾고 있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실업률을 구하는 공식은 실업자 수/경제활동인구*100 입니다.
경제정책
2024년 7월 14일 작성 됨
Q.
정부가 고환율 정책을 추진할 때 기업과 가계로 보면 어느 쪽에는 이득이고, 어느 쪽에는 손해를 보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환율이 고환율일때는 미국주식 등 해외자산을 보유한 가계는 수혜를 보지만 국내자산 위주의 가계는 피해를 봅니다. 기업입장에서는 수출기업의 경우 수혜를 볼 수 있지만 수입 기업은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불리한 환경에 처하게 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7월 14일 작성 됨
Q.
미국의 금리인하 확정으로 코인이 급등한다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많은 전문가들은 미국이 9월에 첫 금리인하를 시작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데 이 또한 확실한 것은 아니며 그리고 금리인하를 시작한다고 해서 반드시 코인이 상승하는 것도 아닙니다. 항상 보수적인 자세로 분할매수 해가는 것이 좋은 투자자세라고 생각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4년 7월 14일 작성 됨
Q.
투자 시장에서는 "돈을 일흔 호구가 있어야 내가 돈을 번다"는 말이 있다는데, 사실일까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시장에서는 돈을 버는 사람만 있을수는 없습니다. 가격이 매우 쌀때도 파는 사람이 있어야 저가에 매수할 수가 있고 가격이 거품이 껴서 매우 고가인데도 매수하는 사람이 있어야 누군가는 매도를 해서 차익실현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566
567
568
569
5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