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위험자산과 환율의 관계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달러와 위험자산의 관계는 보통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요즘처럼 둘이 동반 상승하는 상황은 경제 환경에 따라 달라지곤 하죠.달러 강세는 일반적으로 안전자산 선호로 위험자산이 하락하지만, 최근에는 미국 경제 지표가 견고해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도, 기업 실적 기대감이 위험자산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 높은 금리 차이로 인해 글로벌 자금이 미국으로 유입되며 주식 시장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어요. 특히 지정학적 요인도 자금 흐름을 미국 중심으로 몰리게 만드는 요소입니다.이런 시장 환경에서는 금리 동향과 주요 경제 지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며 투자 전략을 조정해보는 걸 권장합니다.
Q. 명목환율과 재정환율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환율 개념은 처음엔 헷갈리기 쉬운데, 명목환율과 재정환율의 차이를 이해하면 더 명확해집니다. 물가를 반영하느냐가 두 개념의 핵심 차이죠.명목환율은 단순히 외국 통화와 자국 통화의 교환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1달러 = 1,300원이 명목환율이에요. 반면, 재정환율은 명목환율에 양국의 물가 수준을 반영해 실질 구매력을 비교합니다. 예를 들어, 명목환율이 1,300원이고 자국 물가가 100, 외국 물가가 120이라면 재정환율은 약 1,083원입니다.각국의 물가 수준과 환율을 활용해 직접 계산해보시면 체감이 쉬울 거예요.
주식·가상화폐
Q. 한국이나 미국 주식 중에서 우상향하는 커버드콜 ETF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커버드콜 ETF는 방어적인 투자 전략으로 잘 알려져 있어 주력보다는 포트폴리오 다각화 용도로 많이 활용됩니다. 저도 주변에서 커버드콜만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분은 보기 드물더라고요.대표적인 커버드콜 ETF 중 JEPI(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는 S&P 500 기반으로 안정성과 상승 가능성을 동시에 노립니다. 또한, QYLD(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는 나스닥 100에 투자하며 높은 배당이 강점이지만 상승장은 제한적입니다. XYLD는 S&P 500 기반으로 QYLD와 유사한 특징을 가집니다.우상향 가능성을 중시한다면 JEPI를 우선 살펴보시고, 소액으로 배당과 성장성을 직접 확인하며 투자 경험을 쌓아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Q. 국제수지와 경상수지는 어떤 관계인가요?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국제수지와 경상수지는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인데요, 처음엔 두 용어가 비슷해 보여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저도 이런 질문을 자주 받아요.국제수지(Balance of Payments)는 한 나라가 외국과 주고받은 모든 경제적 거래를 기록한 종합적인 지표입니다. 여기에는 경상수지, 자본금융계정, 오류 및 누락이 포함됩니다. 한편, 경상수지(Current Account)는 국제수지의 일부로, 상품·서비스 무역, 본원소득(이자·배당), 이전소득(송금)을 포괄합니다.경상수지 흑자는 수출이 수입보다 많거나, 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이 더 크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국제수지 흑자는 경상수지와 자본금융계정을 모두 포함한 전체 거래에서 외화가 순유입되었음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경상수지가 적자라도 자본 유입이 많다면 국제수지는 흑자가 될 수 있습니다.자신의 국가 데이터를 살펴 경상수지와 자본 흐름 간의 균형을 비교해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