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정재영 아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재영 아동 전문가입니다.

정재영 전문가
언어심리센터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손을 씻는건 좋은습관이지만 병적으로 집착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재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말씀해주신 아이의 행동들은 불안으로 인한 강박적인 행동으로 보여집니다. 이것은 규칙을 잘 따르려고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말로 타이르거나 교육한다고 해서 효과를 보기는 어렵습니다.가까운 심리센터나 소아청소년정신과 의사와 상담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밤기저귀 떼는 법 궁금해요.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정재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아직 밤에 실수를 한다면 아직 밤동안 소변을 모아두기에는 방광이 작은 것일 수도 있어요. 이불에 실수해서 혼나면 심리적으로 위축되기 때문에 아직 밤 소변 실수가 있다면 자기 전에 화장실을 다녀오게 해서 소변을 비우고 밤기저귀를 채우고 재우세요. 아이가 신체적으로 준비가 되면 밤기저귀가 거의 안젖는 시점이 올 것입니다. 심리적으로 위축되면 오히려 불안함에 밤 소변 실수가 잦아질 수 있으니 편안하게 대해주세요.
놀이
놀이 이미지
Q.  친구 아이에게 선물을 주고싶은데 어떤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재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여자아이들은 인형을 좋아하는데요. 5세 때는 가상놀이, 역할놀이를 좋아하기 때문에 역할놀이를 할 수 있는 장난감세트나 피규어, 혹은 코스튬(예: 겨울왕국 공주 옷) 등을 선물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4살 아이 ~ 보통 한글을 읽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재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 따라 어린 나이부터 글을 읽고 쓰는 아이들도있지만벌써부터 무리하게 한글교육을 시키실 필요는 없습니다. 언어발달이 조금 느린 편이라면 말을 조금 더 유창하게 할 수 있도록 언어적 자극을 주는 데 더 신경을 쓰면 좋을 것 같습니다.한글은 6-7세가 되었을 때 시도해보세요.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올해 초등학교 들어가는 딸아이가 한글을 아직 몰라요.
안녕하세요. 정재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초등 입학 전 시기는 한글을 배우기 좋은 시기입니다. 자주 노출해주시고 재미있게 배우도록 해주시면 금방 뱌우게 될 것입니다. 아이들은 재미만 있다면 스스로 합니다. 초등1학년은 한글이 아직 미숙한 아이들도 있어 선생님이 수준에 맞게 지도해주실 것입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6~7세 아동 그림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재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모 윌렘스의 내 토끼 어딨어 시리즈나 이와이 도시오의 100층짜리 시리즈를 추천드립니다. 더 많은 목록을 보고 싶으시면어린이도서연구회에서 매년 연령별로 추천 도서 목록을 뽑아놓은 리스트를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어린이도서연구회 사이트 링크에서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http://www.childbook.org/new3/netc.html?html=netc_main11.html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들이 6살인데 발음이 어눌해요 이럴때는 어찌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재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현재 다니시는 언어교육이 어떤 것인지 모르겠으나언어심리센터 등에서 근무하시는 언어재활사 분들은 발음도 다루어주실 수 있습니다. 주변 언어센터에 방문하셔서 발음평가 받으시면 도움을 받을 수 있으실 것입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방학이라 아이들과 무엇을 하면서 보내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재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요즘은 여러 매체를 활용하여 집에서도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습니다. 즐거움 뿐 아니라 교육적 효과도 얻기를 원하신다면여러 가지 활동들이 연계될 수 있게 해주세요.예를 들어, 아이가 좋아하는 만화 캐릭터가 있다면 그 캐릭터를 그려보고 좋아하는이유나 캐릭터의 특징을 가담히 소개하는 글을 써서 나만의 책을 만들기 블럭으로 캐릭터 만들기 좋아하는 만화의 에피소드 한 편 만들기 등으로 여러가지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집에서 활용할 수 있는 놀이들은 만들기, 종이접기, 플레이도우, 레고, 숨은그림찾기나 미로찾기와 같은 워크북 놀이, 책읽기, 컬러링북,요리, 과학실험, 보드게임 등이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아기가 언제쯤 걸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정재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통 아이들은 돌 전후로 걷기 시작합니다. 개인차가 있겠지만 너무 늦는다면 발달상에 어려움때문은 아닌지 잘 살펴봐야 합니다. 아이가 여태까지 걷기 외에 뒤집기,기기,기어 오르기, 기어내리기, 잡고서기 등에서는 또래와 비슷한 수준이었는지 고려해보시고(시기 뿐 아니라 몸 운동의 원활함이 있는지 고려해주세요)아이가 걷는 움직임을 연습할 수 있도록 재미있게 유도해주세요.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는 언제부터 말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재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궁금한 것에 대한 답변을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언어 표현 단계는 생후 8개월~1세 무렵의 첫말 시작 단계, 18개월 무렵의 단어결합 단계, 2세 단계, 3세 단계, 4~5세 단계로 나누어진다.① 아동의 첫말 시작은 매우 익숙한 가족(엄마, 아빠), 일상적인 사물(물, 우유, 맘마), 동작(봐, 줘)들로 시작되는데 대개 1세 전후에 나타난다. 15개월 정도가 되면 적어도 10단어 정도의 언어 표현을 하게 된다.② 아동은 18개월 무렵부터 주위 환경, 감정, 요구 표현을 두 단어를 결합하여 문장을 만들기 시작한다.③ 2세 무렵의 아동은 알고 있는 것이나 원하는 것을 표현할 때 두 단어로 된 문장형태를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우유 더”는 “엄마 우유 더 주세요.” 또는 “엄마 양말”은 “이것은 엄마의 양말입니다.”라는 의미이다.④ 3세 무렵이 되면 두 단어보다는 한 번에 세 단어 혹은 그 이상의 단어들을 말하기 시작하고 기본적으로 주어+목적어+서술어(예, “진규 물 먹어”)로 구성되는 단순한 문장형태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아동들은 그 언어들의 특수한 규칙, 문법들을 습득해 나가면서 언어가 급속히 발달하게 된다.⑤ 4세에서 5세 동안에는 단순한 문장에서 문장과 문장이 연결된 표현을 한다.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어미와 접속사를 사용한다. 5세 무렵의 아동은 성인 언어체계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이미 모두 습득한 상태가 된다.출처: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383877&cid=42128&categoryId=42128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