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에서 광합성이란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식물은 음식을 먹지 않아도 햇빛을 이용하여 살아가는 데 필요한 양분을 스스로 만들 수 있읍니다 식물이 빛을 이용하여 양분을 스스로 만드는 과정을 광합성이라고 합니다 즉, 광합성은 식물이 빛을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 탄소를 원료로 포도당과 같은 유기 양분을 만드는 과정입니다.광합성이 일어나는 장소 식물새포의 엽록체 입니다.광합성에 필요한 요소는 ① 물: 뿌리로 흡수되어 물관을 따라 잎까지 이동② 이산화 탄소: 기공을 통해 공기 중에서 흡수③ 빛에너지: 엽록체 속 녹색 색소인 엽록소에서 흡수광합성 결과 생성되는 물질는 ① 포도당: 광합성을 통해 생성되는 최초의 양분. 녹말로 바뀌어 잎에 일시적으로 저장됩니다.② 산소: 일부는 식물 자체의 호흡에 쓰이고, 나머지는 기공을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 자전에 대해 자세히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발생 원인은 운동량 보존의 법칙에는 병진운동량 보존의 법칙과 회전운동량 보존 법칙이 있습니다. 우리 태양계같은 항성계 형성 이론중 성간가스 응축설에 의하면, 모든 성간 가스는 정지된 상태로 총운동량의 합은 0 이였다가 어떤 충격파에 의해 성간가스가 응축되기 시작하면 서로 운동량을 주고 받게됩니다. 이후엔 충돌과 응축등을 거치면서 항성계가 생겨나게 되면서 가지게된 회전운동량이 보존법칙에 의해 보존되어 회전하고 있습니다.지구의 자전은 지구의 기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바다의 조수가 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태양이 지구를 비추는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막에서는 어떤 동물들이 살아남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낙타는 혹 속에 지방이 있어 물이 부족할 때 낙타의 몸에서 지방이 분리되어 물로 됩니다.물로 분해될 때마다 혹이 더 점점 적어집니다.사막에 사는 도마뱀는 모래가 뜨거워 뛰면서 다닙니다.그리고 도마뱀이 낮에는 너무 뜨겁기 때문에 땅속에서 잠을 자고저녁에 태양이지면 활동하지만 일부 도마뱀들은 낮에 활동을 합니다.그리고 발에 물갈퀴가 있어 뜨거운 모래를 빨리 달릴 수 있고 위급하면 즉시 모래를 파고 들어가 숨습니다. 페넥여우는 큰 귀로 체온을 조절하며 멀리 있는 먹이를 찾아낸다.식육목 개과에 속하며 건조 지대에 삽니다. 사막은 덥기 때문에 열을 많이 내보내기 위해 귀가 보통 여우보다 크답니다. 하지만 몸집은 조금 작다네요. 야행성으로 모래에 구덩이를 내어 집단으로 서식, 먹이는 날쥐, 작은새, 도마뱀, 곤충등입니다. 연1회 2~5마리를 낳는다고 하네요.가젤는 영양의 한 종류 길고 구부러진 뿔이 특징이며 초식 동물이다.소목 소과에 속하며 톰슨가젤, 도르카스가젤, 다마가젤등이 있습니다. 저녁에 먹이를 먹고, 먹이와 계절에 따라 이동도 한다네요. 체색은 노란빛을 띤 갈색이고 새끼는 보통 1마리를 낳구요. 암수 모두 테가 있는 하프모양의 뿔을 가지고 있습니다. 초식성이구요, 고기맛이 좋아 식용도 가능하다네요. 사막고슴도치는 건조한 여름에 수면에 들어간다. 등....
물리
물리 이미지
Q.  왜 우리의 몸은 땀을 흘리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은 체온조절기능이 있습니다.따라서 과도하게 더운 날씨나 뜨거운 음식을 먹게 되면 체온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때 피부에서 땀을 분비하여 체온을 낮추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즉 땀은 99%의 물, 0.1%의 요소, 0.8%의 염분 등으로 이루어져 있읍니다.이러한 물, 요소, 염분 등의 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며 땀이 증발할 때 기화열을 빼앗아 체온을 조절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물은 왜 투명한것인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사물을 본다는 것은 어떤 물질이 가시광선을 받았을 때 가시광선의 일부의 파장은 흡수하고 일부는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반사하는 색을 봅니다.그런데 물은 약 400에서 700 나노미터의 파장을 가진 가시광선이 반사나 흡수를 일으키지 못하고 그냥 통과해 버립니다.약간 굴절만 할 뿐 대부분 통과 해 버리기 때문에 투명하게 보이는 것입니다.그런데 만약 물 속에 어떤 물질이 있고 그 물질은 가시광선을 반사시키거나 흡수한다면 물이 뿌옇게 보이거나 푸르게 보이거나 할 것입니다 즉 물이 투명하다는 얘기는 물 속에 물 이외의 것이 없다는 뜻이되므로 투명하면 대체로 깨끗하다고 하는 것입니다.
2062072082092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