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심껏 답변 드릴 김경렬 전문가입니다.

김경렬 전문가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계 행성 중 가장 큰 행성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목성은 태양을 제외하면 태양계에서 가장 큰 천체입니다.목성은 지구와 비교할 때 크기는 11배, 질량은 318배, 부피는 1320배에 이릅니다.목성에는 60개가 넘는 위성들이 있어서 태양계 안에 또 하나의 작은 태양계를 이루고 있읍니다.목성은 태양과 동일하게 대부분이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기체 덩어리입니다.만약 목성의 질량이 현재 질량의 100배 정도가 되었다면 스스로 빛나는 별이 되었을 것입니다.그런데 목성구름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으로 측정한 목성의 온도는 예상 보다 20℃ 정도 더 높다는 것이 밝혀졌읍니다.이것은 목성이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 보다 1.7배나 되는 더 많은 에너지를 스스로 방출하고 있기 때문이었읍니다.이것은 목성의 중심이 별이 되기 위해 뜨거워졌다가 별이 되지 못하고 식어가고 있음을 말해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해와 달의 가장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가장 다른 점은 태양은 항성이며 스스로 빛을 내는 '별' 입니다.하지만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는 위성입니다.달은 태양빛을 반사하여 빛을 냅니다.그리고 크기가 다릅니다 태양이 훨씬 큽니다.지구에서 보기에 비슷해 보이는 이유는 거리가 태양이 더 멀기 때문입니다.태양이 달보다 큰것만큼 딱 멀다고 하더군요그리고 태양은 모든 부분이 매우 뜨겁습니다. 표면온도 6000도가량하지만 달은 태양이 비치는 부분은 매우 뜨겁고 안비치는 뒤쪽은 엄청 춥답니다.온도차이가 엄청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자연재해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자연재해는 폭풍,홍수,해일,지진,산사태 등 자연 현상으로 인해 생기는 사망을 포함한 인명피해 및 재산신고를, 그리고 시설물의 피해가 발생하여 생물의 활동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을 말합니다.-해수면 상승과 삼림 훼손 (극지방이었어요 육지의 얼음과 빙하가 녹아 바다의 부피가 늘어날 가능성, 열팽창,즉 바다가 따뜻해지면서 부피가 늘어나는 현상)- 지진 (지구의 바깥쪽에 있는 지각은 다양한 크기의 판들로 이루어져있으며, 이 판들은 서로 맞물린채 움직입니다.사실, 지각에서는 해마다 수백만달러 지진이 일어날수록 있응 정도로 많은 움직임이 있습니다.지진은 심각한 후유증을 남 길수 있습니다.)- 화산 (화산으로 흘러들어 가는 용융된 물질의 구성과 점도 그리고 그 물질에 용해되어있는 기체와 매우 뜨거운 물의 양들이 있습니다. 마그마가 지표 근처로 올라옴에 따라,갇혀있는 물과 기체는 급속도로 팽창합니다.마그마가 특정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청량음료가 담긴 캔을 열 때 펑 하고 기체가 빠져 나가는 것과 매우 유사하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해저에서는 어떤 생명체들이 살아남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심해생물들은 다음 조건에 적응하며 살아갑니다. ① 빛:천해에 이어지는 점심해대는 희미하게 어두운 곳으로, 여기서 사는 어류는 검은 빛을 띠며 눈이 극도로 발달한 것과 퇴화한 것이 있다. 갑각류는 빨간 빛을 띠는 것이 많은데 이것은 일종의 보호색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빨간 빛은 물 속에서 가장 빨리 흡수되므로 갑각류의 빨간 색은 여기서는 검게 보이기 때문이다. 갑각류에는 눈이 퇴화하였거나 있어도 희게 된 것이 많다. 다음에 심해대로 옮겨 가면 발광생물의 존재 이외에는 빛이 아주 없어 암흑으로 된다. 여기서 사는 동물의 몸은 회백색이고, 어류도 갑각류도 눈이 퇴화된 것이 많다.② 수압:수압은 수심 10m마다 1atm씩 증가하므로 심해에서는 천해보다 수압이 매우 커서 특수조건을 이룬다. 심해성 세균 중에는 배양을 할 때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 분열 ·증식을 하지 않는 것이 있다. 심해에서 잡아올린 물고기는 수압이 급속히 감소하게 되므로 부레 안의 기체가 팽창하게 되어 치명적인 장해를 받는다. 그러나 부레를 가지지 않은 어류나 많은 무척추동물은 그 몸 속에 기체 덩어리가 없으므로 수압의 급변에 의한 해를 받지 않는다. 실제로 배시스케이프에 붙었던 얕은 바다의 따개비류가 3,000 m 깊이의 잠수를 한 후에도 아무런 지장이 없었던 예도 있다.③ 영양 조건:심해에서는 빛의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녹색식물이 생육하지 않아 동물들이 직접 식물로부터 유기물질을 공급받을 수 없다. 따라서, 영양원은 주로 위층의 플랑크톤이나 유영생물의 시체가 떨어진 것 또는 육지에서 흘러든 유기물질이다. 배시스케이프를 타고 심해에 들어가 보면 플랑크톤의 유체(遺體)들이 천천히 떨어지는 것이 마치 눈이 오는 것 같이 보여 이것을 바다눈(marine snow)이라고 한다. 아시아대륙이나 아메리카대륙 가까이에 있는 심해에서는 단위면적당 생물의 양이 상당히 많은데 태평양의 중앙부에서는 심해생물의 양이 매우 적다. 이것은 위로부터의 유기물의 공급량과 관계가 있다고 여겨진다.④ 안정된 환경:심해에서는 천해와는 달리 수온도 거의 일정하고 파도도 없어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이 이루어져 있다. 극지방(極地方)의 심해에서는 수온이 0 ℃보다 약간 낮고 적도 근처에서는 4∼9 ℃이다. 심해에서는 조용한 환경이 아니면 살 수 없는 동물도 있다. 예를 들면, 게류 중에서 가장 큰 키다리게(Macrocheira kaemferi)는 일본 남부 점심해대 해저에서 사는데, 긴 다리를 세워서 마치 죽마(竹馬)를 타고 있는 것 같은 자세로 생활한다. 진흙이 많은 심해 바닥에서는 다리가 긴 체형(體形)이 알맞으며, 또한 동물 중에는 몸이 섬세하여 깨어지기 쉬운 것도 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공룡이 멸종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여러 공룡멸종설 중 가장 믿을 만한 것이 운석의 지름이 10km에 가까운 거대한 운석이 떨어졌다는 '운석충돌설'입니다.1980년 알바레스 등이 제창한 학설입니다.만약 10km인 운석이 빠른 속도로 지구 표면에 부딪히게 되면 지름 100km, 깊이 40km에 이르는 웅덩이가 생기며, 엄청난 폭발에너지와 함께 대량의 먼지가 지상 40km까지 올라갑니다.이러한 먼지가 공중을 떠다니게 되어 햇빛을 차단하였고 지구는 해가 뜨지 않는 날을 수년 간 보내다 보니 지상의 온도가 떨어져 핵겨울과 같은 상태가 되었읍니다. 식물들은 광합성을 할 수 없게 되어 죽어버렸고 결국 초식공룡들은 먹이가 없어지자 굶주림을 이기지 못해 죽어갔고 육식공룡도 그 뒤를 이어 죽어갔읍니다.이런 대 재앙으로 인해 지구의 정복자였던 공룡들이 쓸쓸한 최후를 맞게 되었읍니다.
2112122132142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