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철학
2025년 2월 28일 작성 됨
Q.
철학은 죽음에 대해서 어떻게 답을 하고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서양 철학자 중에서 플라톤은 죽음은 육체에 갇혔던 영혼이 자유로워진다고 보았고 에피쿠로스는 살아있을 때는 죽음을 생각할 필요가 없고 죽으면 아무 것도 모르기 때문에 슬퍼할 필요가 없다고 보았으며 하이데거는 인간만이 죽음을 예견할 수 있는 존재라고 보았습니다. 동양에서는 유교는 사후세계에 대해서는 자로가 공자에게 묻자 공자가 답하길 삶도 모르는데 어찌 죽음을 논하느냐고 하여 현실에서 도덕적 삶을 실천해야 한다고 말하였고 도가의 장자는 죽음은 단지 기가 흩어지는 것에 불과하니 슬퍼하거나 두려워한 필요가 없다고 하였으며 불가에서는 삶과 죽음은 같다는 생사일여로 보았습니다.
철학
2025년 2월 28일 작성 됨
Q.
한국 개신교도는 왜 기독교인들이라고 자기 소개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기독교는 구교와 신교로 나뉘어지는데 구교는 그리스정교와 로마의 가톨릭으로 나뉩니다. 로마의 가톨릭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천주교입니다. 신교는 개신교를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통칭하여 기독교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개신교 또한 기독교 안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철학
2025년 2월 22일 작성 됨
Q.
형이상학이라는 단어는 어떠한 의미인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형이상학(Metaphysics)는 그리스어 Meta(~을 넘어선)와 Fusika(자연학 또는 물리학)가 결합된 것으로 물리학(빛과 열과 소리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을 뛰어넘는 학문으로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유래된 것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을 존재의 근본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하였습니다.
철학
2025년 2월 21일 작성 됨
Q.
유학 중에 훈고학은 어떤 점에 중점한 학문이고 중국에서는 어느시대에 주류의 학문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진나라의 시황제는 중국을 천하통일시킨 인물로 그의 사상의 밑바탕을 이룬 것은 한비자 이사 상앙 등과 같은 법가사상가들이었습니다. 자신의 노선에 반대하는 유학사상가들을 산채로 매장시켜 죽이고 농서와 복서 등을 제외한 모든 유학경전들을 모아서 불태워버린 분서갱유 사건을 저질렀습니다. 이후 한나라와 당나라 때에는 경서를 복원시키고 한자의 음과 훈을 다는 학문인 훈고학이 나오게 된 것이니다. 유학은 한당시대를 이어서 송나라 때에는 성리학(주희: 주자)으로 명나라 때에는 양명학(왕수인) 그리고 청나라 때에는 고증학(고염무)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철학
2025년 2월 17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행운은 단순한 우연의 결과일까요? 아니면 운명이 정해져 있는 걸까요? 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네잎클로버가 행운을 뜻한다는 사실은 대부분 잘 알지만 세잎클로버가 행복을 뜻한다는 사실은 잘 모르고 삽니다. 운명처럼 운도 정해져 있다고 봅니다. 관상학 등이 과학은 아니지만 통계학적인 측면을 담고 있듯이 사람의 운명 또한 정해져 있다고 봅니다. 다만 인간 스스로의 노력으로 이런 운명과 행운을 바꿀 수는 있다고 보여집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