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철학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상대주의 철학’이란 어떤 철학을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윤리적 행위를 판단하는 방법에는 절대론적 윤리설과 상대론적 윤리설이 있습니다. 절대론적윤리설을 주장한 사상가들은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 칸트 등이 있으며 상대론적 윤리설을 주장한 사상가들에는 소피스트 에피쿠로스 베이컨 벤담 밀 듀이 등이 있습니다. 상대론적 윤리설은 상대성 특수성 주관성 사회성 시대성에 바탕을 둔 사상으로 쾌락과 유용성을 강조한 사상입니다.
철학
2024년 10월 20일 작성 됨
Q.
주자학,성리학, 양명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유학은 진시황제가 분서갱유(유학경전을 불사르고 유학자들을 생매장 시킨 사건) 이전의 선진유학(공자 맹자 순자 등)이 있고 진나라 이후 한과 당나라 때는 경학과 훈고학으로 송나라 때는 성리학 명나라 때는 양명학 그리고 청나라 때는 고증학으로 불리며 변천해왔습니다. 본격적인 학문적 체계를 갖춘 시기는 송나라 때이며 송학 성학 이학 성리학 주자학 등으로 불리었습니다. 성리학은 이기론 심성론 등의 이론적 체계를 갖췄으며 주돈이의 태극도설(태극과 음양)에 도가와 불가의 사상까지 아울러서 주희(주자)에 의해 완성되었기에 주자학으로 불렀으며 우주의 본성과 사물의 본성 그리고 인간의 본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성즉리학에서 성리학이라고도 불렀습니다. 성즉리설 거경궁리론 선지후행설 등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명나라 때에는 왕수인에 의해 마음 밖에는 이치도 사물도 없다는 심외무리 심외무물을 주장하여 심즉리설을 바탕으로 삼았으며 격물치양지와 지행합일설을 주장하였습니다. 그리고 청나라 때는 성리학과 양명학이 공리공론 탁상공론이라고 비판하면서 객관적인 태도로 학문에 접근하고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 학문으로 고염무 등에 의해 고증학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철학
2024년 10월 20일 작성 됨
Q.
차근차근 대화를 하면 마음이 진정되는데 그런 현상은 어떤이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인간은 기본적으로 자기 중심적 사고를 합니다. 그래서 가장 신뢰하고 있는 사람들 즉 가족이나 친한 친구에게는 그 누구보다도 자신을 이해해주고 자신이 무슨 짓을 해도 다 감싸주리라는 인식을 지니고 있기때문에 이에 상응하지 못하면 서운함과 함께 화를 참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들이 관심법에 능통할 수 없으며 말을 하지 않으면 자신 뿐만아니라 타인을 이해할 수도 긍정할 수도 없게 됩니다. 그래서 대화가 많이 필요하고 또 대화를 통해 상대방을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대화를 함으로써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고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것입니다. 인간은 언어적 요소도 중요하지만 비언어적 요소 즉 행동거지나 발걸음 얼굴빛 서 있는 자세 등으로 그 사람을 평가할 수도 있기 때문에 거만하다거나 비굴하다거나 하는 선입견 등은 대화를 통해 불식시킬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대화가 중요하고 대화가 인간과 인간을 연결하는 이상적인 신호가 되는 것입니다.
철학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우라나라 종교중에 기독교, 천주교,불교가 추구하는게 뭔지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종교가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은 신도 수를 가지고 있는 개신교와 천주교 그리고 불교가 대표적 종교입니다. 기독교는 구교와 신교로 나뉘어지며 구교는 그리스 정교와 로마의 카톨릭이 있으며 로마의 카톨릭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천주교입니다. 신교는 개신교입니다. 19세기 말에 들어온 천주교는 제사를 금하고 우상숭배를 금지하여 커다란 저항에 부딪쳤으며 1886년 병인사옥으로 수많은 천주교인들이 죽임을 당했습니다. 통칭 기독교(천주교와 개신교)는 믿음 소망 사랑을 바탕으로 진리와 정의를 실천해오고 있습니다. 고구려 소수림왕 2년(312년)에 전진의 스님 순도가 불상과 불경을 가지고 전래한 불교는 가장 오래된 종교로 자비정신을 바탕으로 주체적 세계관과 평등적 인간관 그리고 연기설과 사성제설 사법인설 등에 바탕을 둔 종교입니다.
철학
2024년 10월 19일 작성 됨
Q.
점 보는 것과 철학이랑 관련이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철학에는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이 있으며 동양철학에는 사상사적으로 유학(유교)이 있습니다. 유학 경전은 논어 대학 맹자 중용 등의 4서와 시경 서경 역경(주역) 등의 3경 그리고 예기 춘추를 합하여 5경이라고도 합니다. 여기에서 역경(주역)에 나오는 것이 점을 보는 것으로 인간의 길흉화복을 태극과 음양 144괘에 따라 정리해놓은 것입니다. 사주팔자에도 우리의 이름에도 오행(화수목금토)이 들어있어서 상생과 상멸의관계로 설명하는 것입니다. 일과 월을 옆으로 합하면 밝은 명이고 위아래로 합하면 바뀔 역자가 되며 '역'사상은 중국의 역사관으로 바뀐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