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노량해전이 왜 임진왜란 마지막 전투였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노량해전은 정유재란 당시 1598년 12월 16일 이순신을 포함한 조명 연합수군이 경상우도 남해현 노량해협에서 일본의 함대와 싸운 전투입니다. 일본군의 행주산성에서의 패배와 수군의 잇다른 패배 그리고 명나라의 참전으로 불리해지자 명나라에 휴전을 제의하고 자국으로 출국했다가 휴전협상이 맞지 않아 1597년 15만 대군으로 조선에 정유재란을 일으킵니다. 그러나 조선은 이순신을 삼도수군통제사로 다시 임명하여 전세를 가다듬은 조선 수군이 명량대첩에서 크게 승리하자 왜군은 보급로의 차단으로 엄청난 곤란을 격게 됩니다. 더군다나 1598월 8월 18일 토요토미의 죽음은 왜군을 더욱 더 혼란스럽게 만들었습니다. 결국 왜군은 철수를 위해 순천 사천 울산 등으로 모여 퇴각하고자 합니다. 이순신과 명군은 순천에 있는 일본왜성을 공격하여 고니시 유카나와 부대를 고립시킵니다. 사천 고성 남해에 주둔하고 있던 왜군들은 고니시부대를 구하기 위해 노량으로 향합니다. 사천의 시마스부대가 노량으로 올 것을 예측하고 공격하여 500여척 중 200척을 뷴파하고 150여척이 파손되어 패색이 짙어진 왜군은 150척으로 돌파를 시도하여 도주합니다. 뒤를 쫓던 이순신은 왜선으로부터 날아온 총탄에 맞고 쓰러져 죽게됩니다. 마지막전투인 이유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원불교는 어떠한 종교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불교는 조선후기 전남 영광에서 대종사 박중빈에 의해 창시된 한국형불교입니다. 천주교의 신부와 수녀와 같은 교무와 정녀가 있으며 동학이나 증산교와 같은 민족종교처럼 유불도 3교가 융합되어 있으며 후천개벽과 해원상생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교육사업으로 익산 원광대학교와 영광 성지고 등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노량해전에 원인 및 결과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노량해전은 정유재란 당시에 1598년 12월 16일 이순신을 포함한 조명 연합 수군이 경상 우도 남해현 노량 해협에서 일본 함대와 싸운 전투입니다. 일본군은 행주산성에서의 패배와 수군의 잇따른 패배 그리고 명나라 참전으로 불리해지자 명나라에 휴전을 제의하고 철군했다가 휴전 협상 조건이 맞지 않아 1597년 15만 대군으로 재차 침입해 왔습니다. 그러나 이순신의 명랑대첩으로 크게 패배하고 1598년 8월 18일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자 왜군은 혼동에 빠집니다. 게다가 보급로까지 차단되자 왜군은 순천 사천 울산 등으로 집결 철수 준비를 합니다. 이순신은 명나라 군대와 함께 순천 고시니 유키나와 부대를 격파하고 퇴로를 노량으로 갈 것으로 예측하고 조명수군은 진을 치고 기다리고 있다가 큰 승리를 이룹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순신은 적의 총탄을 맞고 전사하고 맙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의 대령숙수는 신분이 어떻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령숙수는 조선조에 이조에 속해 있는 남자 전문 요리시입니다. 궁중의 잔치인 진연이나 진찬 때는 대령숙수들이 음식을 만듭니다. 대령숙수는 세습에 의해 대대로 그 기술을 전수했고 궁밖에 살면서 궁중의 잔치 때 궁에 들어와 음식을 만들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천리장성은 어디를 방어하기 위해 만든 성입니까?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시대에 거라과 여진 등 북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은 성입니다. 길이가 약 1000리에 달한다하여 천리장성이라고 합니다. 고구려의 천리장성과 구분하여 고려장성이라고 합니다. 압록가에서 원산만까지 축조하였습니다.
5615625635645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