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알로 태어났는데 오리너구리는 왜 포유류일까요?
오리너구리가 포유류로 여겨지는 이유는 젖샘을 가지고 있고, 털이 나며, 중이에 3개의 뼈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각각의 특성은 오리너구리를 포유류로 정의하는데 도움이 됩니다.오리너구리는 현대의 포유류가 출현하기 수백만 년 전에 존재했던 고대의 포유류 집단인 단공류에 속합니다. 실제로 오리너구리는 포유류에 속하지만 유전적으로는 포유류, 조류, 파충물이 혼합돼 있다고 합니다. 오리너구리는 많은 조상들의 원래 특징들을 보존해왔는데, 이는 아마도 그들이 살고 있는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하는과정에서 그렇게 진화했을을 것입니다.
Q. 송이 버섯은 서식지의 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
송이 버섯의 서식지 조건은 대략적으로 감염된 소나무, 지표온도, 강수량, 흙의 재질입니다.송이버섯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송이균에 감염된 소나무가 필요한데, 단순히 감염만 되어서는 안 되고, 소나무의 나이가 약 30년에서 40년 사이 소나무에서 잘 자랍니다. 송이 버섯이 발생하기 위한 적절한 지중 온도는 약 19.5 ℃ 이하입니다. 이때 지중 온도가 14 ~ 24 ℃ 를 대략 2주간 유지하여야 합니다. 만약 자실체(송이버섯균)가 성장하고 있는 중간에 이 온도 범위를 넘어가면 생장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특히 31 ℃를 넘어가면 균사체가 죽어버리고 마찬가지로 약 14 ℃ 이하인 경우 자실체의 성장이 멈춰버리게 됩니다.강수량 또한 너무 많지도, 적지도 않아야 합니다. 특히 송이가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하는 9월에는 꾸준히 비가 내려야 잘 자라지만, 다만 비가 너무 많이 내려 지나치게 습해지면 송이 버섯이 썩어버리게 됩니다.흙의 재질은 마사토에서 주로 잘 자랍니다. 송이버섯이 잘 자라기 위해서는 통기성도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마사토가 물의 배수를 돕고 공기가 잘 통하게 만들어주어 송이가 자라는 데 도움을 주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높이의 기준이 되는 "해발" 은 어떻게 정해진건가요?
해발고도는 말 그대로 해수면을 기준으로 잰 어떤 지점의 높이를 말합니다.해수면의 기준은 각 나라마다 다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수도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인천 앞바다를 ‘해발’의 기준으로 삼습니다. 질문자님의 언급한것처럼 바닷물의 높이는 조석, 해류, 기압, 바람에 따라 늘 변하기 때문에 몇 년에 걸쳐 평균을 내면 ‘해발 0m’인 기준 수면을 얻게 됩니다. 그다음엔 이 기준을 가까운 육지 어디엔가 옮겨 표시해 놓는데, 이것이 ‘수준원점’이라고 합니다. 수준원점은 해발고도의 기준이 되는 곳으로 평균 해수면 0m가 기준입니다. 이는 만조선과 간조선의 중간인 평균 해수면을 0m로 기준 삼고 있습니다.
Q. 날씨가 추운 겨울에는 화장실을 자주가게 되나요
평상시 소변량은 1회 300∼400㏄이지만, 겨울철에는 교감신경 기능이 활발해져 방광 수축이 잘 일어나, 1회 소변량이 250∼270㏄로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말초혈관(손, 발 등 몸의 말단 부분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으로 전해지는 혈액량이 줄어들고, 신장의 혈액량은 늘어나 소변은 많이 생성되기때문에 겨울철에는 화장실을 자주 가게 되는 것입니다.
Q. 매년 강원도에서 토종 벌꿀을 사 먹는데...
올해 초 전국에서 77억 마리가 넘는 꿀벌이 집단 실종된 것으로 알려지며 식품업계의 벌꿀 수급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꿀벌 실종과 관련해서 농촌진흥청은 해충인 응애 발생과 이상기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응애는 꿀벌에 기생하면서 체액과 조직을 먹고 자라는 해충으로, 꿀벌 성장을 저하시키는 해충입니다. 이 외에 베로아, 작은벌집딱정벌레의 위협 역시 하나의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이상기후 역시 빼놓을 수 없습니다. 벌은 기온 등 날씨 영향을 많이 받는 곤충인데요, 기상청 기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연평균 기온은 13.3도로 평년 대비 0.8도 높았습니다. 이는 기상 관측이 전국으로 확대된 1973년 이후 역대 둘째로 높은 온도로, 따뜻한 기온 때문에 월동을 해야 할 벌들이 그러지 못해 폐사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Q. 자판기에 멀쩡한 돈 넣어도 뱉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1)동전의 경우자판기 안에는 전자식 동전 검사기가 들어있는데, 검사기는 동전이 들어오면 전류를 흘려보내고 동전에 들어 있는 금속의 종류와 양에 따라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다릅니다. 이를 통해 적당한 양의 금속을 가지지 않은 가짜 동전을 분리합니다. 검사를 통과한 동전은 자석과 광센서를 지나며 종류별로 나뉘는데 동전은 양쪽에 자석이 붙어있는 통로를 지나며 자기장의 저항을 받아 속력이 느려집니다. 동전마다 질량과 성분은 다르기 때문에 속도에 차이가 납니다. 이 때, 광센서를 지나면 속도 변화와 동전 크기가 측정되어 동전이 얼마짜리 인지 인식됩니다. 속도와 크기가 어느 동전과도 맞지 않으면 다시 내보내지게 되는데 여러 환경적인 요인과 동전의 상태에 따라서 오작동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2)지폐의 경우지폐 투입구 속에는 지폐 감별기가 있습니다. 이 감별기 안에는 한쪽에는 적외선을 쏘고, 다른 쪽에서는 적외선을 받아들이는 광센서 한 쌍이 있는데, 지폐가 들어오면 광센서에 들어가는 적외선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그것을 감지해 모터가 작동합니다. 지폐가 내부를 지나가게 되면 적외선이 지폐를 통과하면서 지폐의 두께, 길이, 색에 따라 적외선이 지폐를 통과하는 양이 달라집니다. 감별기는 적외선의 양을 감지해 기계에 미리 입력된 값과 비교하여 진짜 지폐와 가짜 지폐를 구별하게 됩니다. 이때 지폐의 상태가 구김이 있거나 양호하지 못하면 감별이 힘들기 때문에 자판기에서 뱉어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