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고래 vs 아메바, 현대 과학으로 어느 것이 더욱 정교하다고 분석할 수가 있습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교함을 따지기 위해서는 정교함에 대한 정의를 해야합니다. 만물에 있어 과학적으로 살펴보아도 정교하지 않은 물질이나 존재는 없습니다. 하지만 두 물질간의 비교 과정에서 기준을 설정하고 정교함을 논할 순 있죠. 질문자님께서 고려한 조건은 모호한 면이 존재합니다. 여러 각도에서 비교 분석한다는 의미에 있어 어떤 식으로 분석할 것인지가 빠져있네요.비교 대상자체를 단세포 생명체인 아메바와 다세포 생명체 중 거대한 고래를 제시했기 때문에 세포의 양이나 세포의 균일도(?)에 대한 암묵적인 기준이 있는 듯 합니다. 이러한 기준으로 봤을 때에는 세포가 많은 고래가 정교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세포가 많음에도 규칙성있는 짜임새로 놓여져 있기 때문이죠. 마치, 다수의 블럭으로 예쁜 집을 지어놓은 것과, 블럭 하나의 비교처럼말이죠.
지구과학·천문우주
Q. 비행기가 하늘을 나는 과학적인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죠. 이러한 원리로 비행하는 물체는 우주선, 드론, 헬리콥터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