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김두환 전문가
부산대물리학과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거미는 어떤 조건에 거미줄을 쳐서 집을 짓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몇 가지 선정조건이 있습니다. 거미가 살아가는 집이기 때문에 비교적 천적에게 표적이 되지 않는 부분에 지으며, 날벌레들이 자주 드나드는 곳에 짓습니다. 물론 거미종에 따라 집짓는 성향이 다르며, 거미가 정확하게 모든 부분을 고려하진 못하기 때문에 보통 무퉁이나 기둥과 기둥사이에 짓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빙하를 보게 되면 하얀 부분과 검은 부분이 있는데 검은 부분은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어떤부분을 보신지는 정확히 모르겠으나, 빛이 들지 않아 어두워지는 부분이 보일 수 있으며 암석에 눈이 쌓여 얼어 빙하가 됐을 경우에는 암석이 드러난 부분이 어두워보일 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선풍기가 돌때 왜 소리가 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선풍기의 원리를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선풍기의 원리는 선풍기 날개를 통해 공기를 앞으로 튕겨냄으로써 바람을 만들어 줍니다. 즉, 공기와 충돌과 마찰이 존재하며, 공기를 가르는 날개가 소리를 내는 것이죠.소리는 공기의 진동으로 전달 되기 때문에, 선풍기의 날개가 공기를 가르거나 할 때 공기를 진동시켜 우리에게 소리로 들리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물 자체의 색깔은 투명한데 얼음이 얼면 왜 그렇지 못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뜨겁거나 따뜻한 물을 얼리면 기포가 없이 얼음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찬물로 얼릴 경우 불투명해질 수 있습니다.기체는 액체에 녹을 때 찬물에서 잘 녹으며, 뜨거운 물에서는 잘 녹지 않는 특징이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물을 끓이게 되면 물에 함유된 기체를 없앨 수 있습니다. 탄산 음료를 시원하게 먹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 그래서 집에서 얼음의 기포를 없애고 싶다면 물을 끓인 뒤 뜨거운 물이나 미지근한 물을 얼리시면 기포를 없앨 수 있습니다.하지만 찬물은 기체가 용해되어있어 얼음이 얼 때 아주 작은 기포들이 형성되기 때문에 불투명해지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날벌레들이 주광성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주광성 벌레들이라고 하죠. 흔히 나방 같은 종류의 벌레들은 빛을 보면 마구 달려듭니다. 이들은 어두움 밤에 먹이를 찾거나 길을 찾을 때 빛을 이용하는데, 이 빛이 하나의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이러한 벌레들은 밝은 곳이면 달려드는데, 불에도 벌레들이 달려들어 불의 열기에 죽기도합니다. 그래서 열을 감지하진 못하죠. 또한 벌레들은 눈이 있기 때문에 빛을 보기도하며 인지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빛으로 달려들려고 애를 쓰죠.
1661671681691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