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김두환 전문가
부산대물리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물을 1~4급수로 나누고 있는데 과학적 기준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등급을 나누는 기준은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산성도(pH), 용존산소량(DO),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이며, 세부적으로 카드뮴, 비소, 수은 등의 함량도 등급의 기준이 됩니다.바다나 민물등에 적용되는 기준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새들의 개체수가 점점 감소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개체수의 감소는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서식지가 파괴되어 개체수가 줄 수 있으며, 기후의 변화로 인해 특정 종이 이주하지 못하면서 환경에 적응을 못해 개체수가 줄수도 있습니다. 또한, 외래종의 유입 또는 생태계의 변화가 생겨나면서 개체수가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전적인 변화로 인해 개체수가 줄 수도 있죠.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화산에 쓰레기를 버리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산에 쓰레기를 버리는 것이나 쓰레기를 소각하여 처리하는 것이나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유해물질이 배출 될 수 있고 잔여물이 남기는 똑같죠.화산까지 쓰레기를 버리는 것이 비효율 적일 수 있습니다. 화산까지 운반하는데 드는 비용과 인력까지 고려하면 쓰레기 소각, 매각장을 이용하는 것보다 더 나은 이점이 없기 때문입니다.
화학
2023년 7월 12일 작성 됨
Q.
선풍기랑 환풍기랑 바람이 반대로 부는데요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원리는 동일합니다. 다만 환풍기의 경우 실외에서 실내로 바람을 유입시키는 것과, 실내에서 실외로 바람을 유출시키는 것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이는 필요나 경우에 따라 설치하는 방식의 차이입니다.
화학
2023년 7월 12일 작성 됨
Q.
드라이 아이스를 만졌을때 벌어지는 과학적 현상이 화상인지 동상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엄밀히 따지면 동상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상태로 존재하는것입니다. 마치 물이 얼어있는 상태와 같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되는점인 영하 78도 이하의 온도로 존재합니다. 즉, 만지면 굉장히 차가운 드라이아이스에 피부에 있는 열을 빼앗겨 동상을 입게되죠. 그런데, 이로인한 흉터는 피부조직을 파괴하므로 마치 화상과 같은 통증과 상처를 남기기 때문에 화상이라고 표현하죠.
166
167
168
169
1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