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눈을 깜박이는 건 왜 나의 의지로도 되지만 무의식적으로도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을 깜빡이지 않으면 안구가 건조해지면서 마르게 되어 따가움이 찾아옵니다. 눈을 깜빡이는 이유는 눈물샘에서 나오는 눈물을 안구전체에 고르게 퍼뜨려 안구를 촉촉하게 만들기 위해서 입니다. 만약 눈을 깜빡이지 않는다면 안구건조증에 의해 안구가 푸석푸석해지고 안구 표면이 갈라질 위험도 있으며, 외부 물질이나 충격에 안구에 흠집이나 손상이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눈을 깜빡이는 일은 중요한 것이며,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뇌와 척수를 이어주는 연수에 의해 일어나는 일입니다. 연수에 의해 무조건 반사가 일어나며 기침, 재채기, 눈깜빡임, 침삼키기 등이 일어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비가 생성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은 상태에서 상승기류(저기압)를 만나면 공기가 하늘로 올라갑니다.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하늘로 올라가면 부피가 팽창하고 온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온도가 떨어지면서 수증기가 물로 바뀌죠. 그러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 구름에 있는 아주 작은 물방울이 있는데, 구름 속 수증기량과 물의 양이 많을 때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병합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조금씩 크기가 커져 지상으로 떨어지게 되죠. 이것이 비가 내리는 원리입니다.구름에는 전자(-)가 분포하는데, 전자가 많아지면 땅과 구름사이에 전압이 높아져 공기를 타고 전자가 이동(전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번개가 치는것이죠.이 때 전자가 지면으로 이동하면서 공기중에 있는 원자, 분자와 충돌하게 되며 빛이 발생하고 주변 공기를 압축시키거나 수축시켜 진동을 일으키며 천둥소리가 나는 것이죠.바람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작용합니다. 기체의 이동은 온도차, 기압차에 의해 발생하고 이게 곧 바람이 되는것이죠. 바람의 방향 역시 앞서 말씀드린 요소인 온도, 기압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리고 행성 내에서 바람의 방향은 행성 자전에 의한 영향(전향력=코리올리 효과)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