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생성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하늘에서 기류 변화로 비가 오는데요. 이 비가 내리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어떻게 물이 생성되면서 내려오는지랑
추가적으로 바람이나 번개등은 어떻게 같이 생성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주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면...
우리가 목욕탕에서 목욕을 하면서 위 천장을 올려다보면 물방울이 송글송글 맻혀 있는데..
이는, 탕에 있는 뜨거운 물이 수증기가 되어 위로 올라가고 올라가면서 천장의 차가운 온도에 만나서 수증기가 물방울로 전환된 것입니다.
이처럼..비도..대지의 뜨거운 수증기를 포함한 증기가 증발하면서 서서히 공중으로 올라가게되고
올라간 수증기가 고도가 높아지면서 미세한 물방울이 되고..이런 물방울들이 모여서 구름이 형성되고 더 크게 성장하면 비로소
중력에 의해 지표면으로 떨어지는 것이 비 입니다. ㅎㅎ
또한, 번개가 치는 것은 이런 비와 눈들이 상호 충돌에 의해 방전현상으로 일어나는 대기 불안정 현상으로
전하의 충돌현상으로 이해하시면 될 듯 합니다. ㅎ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은 상태에서 상승기류(저기압)를 만나면 공기가 하늘로 올라갑니다.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하늘로 올라가면 부피가 팽창하고 온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온도가 떨어지면서 수증기가 물로 바뀌죠. 그러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 구름에 있는 아주 작은 물방울이 있는데, 구름 속 수증기량과 물의 양이 많을 때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병합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조금씩 크기가 커져 지상으로 떨어지게 되죠. 이것이 비가 내리는 원리입니다.
구름에는 전자(-)가 분포하는데, 전자가 많아지면 땅과 구름사이에 전압이 높아져 공기를 타고 전자가 이동(전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번개가 치는것이죠.
이 때 전자가 지면으로 이동하면서 공기중에 있는 원자, 분자와 충돌하게 되며 빛이 발생하고 주변 공기를 압축시키거나 수축시켜 진동을 일으키며 천둥소리가 나는 것이죠.
바람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작용합니다. 기체의 이동은 온도차, 기압차에 의해 발생하고 이게 곧 바람이 되는것이죠. 바람의 방향 역시 앞서 말씀드린 요소인 온도, 기압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리고 행성 내에서 바람의 방향은 행성 자전에 의한 영향(전향력=코리올리 효과)도 받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는 지표면에서 열이 발생하여 공기가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가 위로 상승하면서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고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방울이 되며 물방울이 커져서 무거워지면 중력에 의해 지상으로 떨어지면서 생성됩니다 비가 내리는 과정에서 바람과 번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람은 공기의 온도와 압력 차이에 의해 발생하며 번개는 구름과 구름 사이 또는 구름과 지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 방전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생성되는 원리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 형태로 떨어지는 것입니다. 이 현상은 대기 중의 수증기 농도와 온도, 대기 중의 먼지 및 기타 입자, 대기 중의 이온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우선, 대기 중의 수증기 농도가 높아질수록 물방울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대기 중의 온도가 낮아질수록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대기 중의 먼지나 기타 입자는 수증기가 응축되는 핵이 되어 물방울이 형성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대기 중의 이온도 비가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온은 수증기 분자와 결합하여 물방울을 형성하는 핵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전기성 핵이라고합니다. 이러한 이온은 일반적으로 대기 중의 번개 또는 태양 플레어와 같은 고에너지 사건에 의해 생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