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화성 하늘색은 왜 분홍색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 이유는 대기의 구성 성분에 있습니다. 지구의 경우와 달리 화성의 대기에는 산화철(붉은 빛의 먼지) 먼지가 다량 함유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지구와 달리 화성의 낮에는 태양 빛 중 붉은 빛 색이 푸른 빛 보다 산란이 훨씬 많이 산란되어 하늘의 빛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그리고 노을이 질 때에는, 태양이 두꺼운 화성 대기층을 뚫고 대기에 도달하게 되는데, 붉은 빛은 대기 중 산화철에 의해 대부분이 산란되어 대기에 도달하지 못하고, 푸른빛만 도달하게 되어 푸른 노을빛을 볼 수 있는 것이죠.행성마다 대기에 존재하는 성분에 따라, 또는 대기의 농도에 따라 하늘의 색이 다를 수 있습니다.
Q. 중2 과학 전기회로에서의 저항의 크기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직관적으로 저항의 병렬연결시 저항의 면적이 늘어나는 효과로 저항값이 줄어듦을 알 수 있습니다.저항 R=ρ l/S(ρ: 비저항, l: 저항의 길이, S: 저항의 단면적)이와 같이 쓰여짐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길이가 길수록 저항이 크고, 단면적이 넓을수록 저항이 작죠.우리는 저항의 병렬연결로R1R2와 같은 연결상태이므로 면적이 늘어나는 효과를 보기위해서는 R=ρ l/S의 S가 늘어나는식으로 더해주어야합니다. 즉, R을 역수해서 더하면 면적이 늘어나는 효과이죠. 즉, 1/R=1/R1+1/R2 와 같은 관계가 됩니다.이제는 엄밀하게 따져보겠습니다.병렬 연결에서는 전류가 나눠들어가는것을 이용하면됩니다.R1R2의 저항으로 병렬연결 되었을 경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동일하게 V이며 전체전류 I가 각각 나눠져 들어가게됩니다.R1에는 I1이, R2에는 I2가 흐르게 되죠. 그리고 I=I1+I2입니다.각각의 저항에서 옴의 법칙을 사용하면,V=I1 R1V=I2 R2를 얻으며, 합성 저항을 R이라고 두었을 때에는 V=IR을 얻게 됩니다.여기서 I=I1+I2를 이용하고자하면,I=V/RI1=V/R1I2=V/R2이기 때문에,1/R=1/R1+1/R2 를 얻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