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민경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경 전문가입니다.
김민경 전문가
노무법인 우광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1년 4월 19일 작성 됨
Q.
이직할 회사에 통보는 몇일 전까지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민경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반적으로 근로계약서 및 사내 취업규칙에 규정된 절차에 따라 이루어지게 됩니다.(다수의 근로계약서에는 30일 전 통보조항을 두고 있습니다)회사에서 사직의 의사를 거절하는 경우에는 민법 제660조에 의하여 30일이 지난 뒤에는 사직의 효력이 발생합니다.*민법 660조①고용기간의 약정이 없는 때에는 당사자는 언제든지 계약해지의 통고를 할 수 있다.②전항의 경우에는 상대방이 해지의 통고를 받은 날로부터 1월이 경과하면 해지의 효력이 생긴다.③기간으로 보수를 정한 때에는 상대방이 해지의 통고를 받은 당기 후의 일기를 경과함으로써 해지의 효력이 생긴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2021년 4월 19일 작성 됨
Q.
기간제 근로 계약만료시 실업급여 받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민경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계약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원칙적으로 근로관계는 종료됩니다.다만, 양 당사자의 합의가 있을 경우 계약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근로자 측에서 더 일하고 싶다는 의사만으로 계속 근로를 할 수는 없습니다)계약이 만료될 경우 피보험단위기간 등의 다른 요건을 갖추셨다면 실업급여 수급은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2021년 4월 19일 작성 됨
Q.
직장 갑질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민경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직장 내 괴롭힘이 발생한 경우 1차적으로는 사내 직장 내 괴롭힘 예방, 대응 업무 담당조직 (담당자)에게 신고하실 수 있습니다.또한 사내 신고가 어려우신 경우에는 사업장을 관할하는 고용노동부 관할지청에 신고하시는 것도 가능합니다.다만 일을 많이 시키는 것이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에 따라 직장 내 괴롭힘 인정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업무량, 차별 대우 등을 녹음, 자료 등을 통해 입증하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신고는 서면으로 하실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2021년 4월 19일 작성 됨
Q.
자진 퇴사의 경우 실업급여 받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민경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실업급여 수급에 관한 질문을 주셨는데요.실업급여는 자기 사정으로 이직한 경우에는 받으실 수 없고 권고사직, 해고 등과 같이 비자발적인 사유로 퇴사하실 때 받으실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2021년 4월 15일 작성 됨
Q.
급여를 분할지급하는건 불법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민경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기준법 제36조에 의하면 급여는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 지급되어야 하고,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서는근로자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제36조(금품 청산)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의 모든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실업급여와 관련하여서는 임금체불이 2개월 이상 지속될 때 수급이 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