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3개월 조금 넘은아기 다리뭉친거같은?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아기의 한쪽 종아리가 약간 단단하게 느껴진다면 근육 긴장일 가능성이 있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 소아과나 재활의학과를 방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뇌성마비는 보통 근육 긴장도, 움직임, 발달 지연 등 여러 증상을 동반하며, 아기의 현재 상태만으로는 단정 지을 수 없습니다. 마사지는 너무 세게 하지 말고 부드럽게 해주며, 아기의 움직임과 발달 상태를 관찰하세요. 특히 한쪽 다리를 잘 사용하지 않거나 움직임에 차이가 크다면 즉시 소아과 전문 병원에서 진료를 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면 신경계 병원에서도 소아 전문으로 하는 병원들이 있습니다. 신경계쪽 관련 재활도 하고, 진단도 하는 곳들이 있으니 잘 찾으셔서 빨리 방문해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부디 문제 없길 바라겠습니다.
Q. 저는 3일 뒤에 중3되는 학생입니다. 저는 7월달 농구 교육감배경기를 뛰고 8월달에 너무 아파서 8월 20일? 쯤에 병원에 갔는데 인대가 찢어졌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퇴행성관절염이나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보통 나쁜 자세, 반복적인 무릎 사용, 심한 외상 등으로 발생합니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 연골이 닳아서 생기고,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무릎의 충격 흡수 기능을 하는 연골판이 찢어지는 상태입니다. 이런 문제가 있으면 무릎이 뻐근하거나 심한 경우 제대로 굽히거나 펴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병원에서 근육에 문제가 없다고 했고, 잔염만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면 퇴행성관절염이나 연골판 손상 가능성은 낮습니다. 치료로 체외 충격파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는 손상의 정도와 부위에 따라 다릅니다. 무리하지 말고 꾸준히 재활운동과 관리를 하면 충분히 회복하고 다시 운동을 할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될거 같습니다. 부디 잘 회복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아직 나이가 어려서 충분히 회복 가능합니다.
Q. 엄지발가락이 자주 까맣게 되고 죽어요...잘 유지하는 방법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엄지발가락 발톱이 자주 까맣게 되는 것은 신발 압박이나 충격으로 인한 발톱 밑 출혈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를 예방하려면 발에 맞는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신발을 고를 때는 엄지발가락이 자유롭게 움직일 공간이 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또는 작업 중 장시간 서 있거나 걷는 경우, 발 쿠션이 있는 양말이나 깔창을 사용해 발의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발톱은 너무 짧게 깎지 말고, 평평하게 다듬어 자극을 최소화하세요. 이미 손상된 발톱은 감염을 막기 위해 깨끗이 관리하고, 통증이 심하거나 회복이 더딘 경우 피부과나 발가락 전문으로 하는 정형외과쪽으로 방문하셔서 근본 원인 치료를 하시는게 중요할거 같습니다. 엄지발가락 같은 경우는 보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발가락입니다. 잘 관리 하시는것이 중요합니다. 부디 잘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