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모든 제품을 살 때는 부가가치세가 붙는 것인가요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국가에서는 임의로 세금을 부과할 수 있으며,그 일종으로 우리나라는 부가가치세를 부과합니다. 국가에서 발생한 모든 부가가치에 대해 최종소비자가 부가가치세(10%)를 부담하도록 하였습니다.하지만, 부가가치세 면세재화도 있습니다. 농산물 등입니다. (쌀, 돼지고기, 채소 등)
Q. 부모님께 빌린돈 다시 갚으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1. 통상 이자를 지급하라고 하는 이유는, 증여가 아니라는 점을 입증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다만, 질문자님의 경우에는 원금을 상환한상황이기때문에, 증여로 볼 여지가 없어서 그부분은 걱정하지않아도 될것같고, 이자부분 자체로 증여대상이 될 가능성도 없어보입니다.2. 금전거래 자체에 5천한도가있는것은아니고, 증여에 한한 것입니다. 해당거래는 증여가 아니라 대여후 상환이 명백해보입니다.2-1도 알고계신것이 맞습니다.다만, 증여세 공제를 받는.정식절차는 증여세신고를 기한내에 하시는것입니다.
Q. 차용증 안쓸 경우에 증여로 간주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대여인지, 증여인지 구분이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다만, 과세관청은 담당자의 판단으로 일방적인 과세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그 결정을 뒤집으려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죠. 그래서 최초의 결정이 불리하지 않도록 미리 준비하는겁니다.대여라면 1. 계약서 (혹은 문자 / 카톡이라도) 가 읶을 것이고, 갚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을것이다.2. 이자를 정기적으로 지급할 것이다.따라서 위의 2가지를 준비하시면, 통상 증여로보지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