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병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병우 전문가입니다.
김병우 전문가
PwC컨설팅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세금·세무
자격증
취득세·등록세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해외 여행 관세 기준이 이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공제한도를 제외한 초과분만 납부하면 됩니다.말씀하신 사례에서는 100usd에 대해서만 세금을납부하시면됩니다
공인회계사 자격증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회계사 시험은 보통 난이도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수능과 비교하면 비슷한 점도, 다른 점도 있습니다.비슷한점 : 경쟁의 수준이 높습니다. 사고력을 많이 요구합니다.다른점 : 암기도 많이 요구합니다. 양이 많고, 목표수험기간이 보통 짧기 때문에, 반복숙달 이전에 시험봐야 합니다.
증여세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자녀가 부모에게 돈을 드려도 증여세가 나올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자녀가 부모에게 돈을 드려도 증여세 과세대상입니다.증여세는 관계를 무관하고 다른 사람에게 돈을 받을 경우 내는 세금입니다. 다만, 가족에게 받았을경우 일정금액 (5천만원등) 공제한도가 있을뿐입니다.
기타 세금상담
2024년 9월 28일 작성 됨
Q.
3.3% 세금을 내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인적용역을 제공하는 사업자는 3.3% 공제후 급여를 받습니다. 즉 프리랜서입니다.프리랜서는 추후 종합소득세 신고납부시 일반세율 (15%, 22% 등) 을 납부합니다.
법인세
2024년 9월 26일 작성 됨
Q.
불량품 수입 후 양품으로 재입고 시 부가세 처리 방법이 어떻게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병우 회계사입니다.세관장의 승인을 얻고 폐기한다면,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수입물품의 수출에 갈음하여 이를 폐기하는 것이 부득이하다고 인정하여 그 물품을 수입신고수리일부터 1년내에 보세구역에 반입하여 미리 세관장의 승인을 얻어 폐기한 때에는 그 관세를 환급한다.사후관리에관한고시제14조(폐기ㆍ수출 승인)에 따라 신고하시면 됩니다.https://www.google.com/amp/s/www.ulex.co.kr/tax/detail_amp/%3fparams=c2VhcmNoX3R5cGU9dGF4cyZzZWFyY2hfdGV4dD3soJzrj4Q0NjAxNTExNzk1JmlkPTIwNzMzNSZzdWJfc2VsZWN0X3R5cGU9%257C%257Chttps://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Id=36749&efYd=0
연말정산
2024년 5월 4일 작성 됨
Q.
연말정산을 할 때 어떻게 해야 세금을 적게 내나요?
5월에 신고하는 것은 종합소득세 신고입니다.사업소득이라면, 발생한 소득에 관련된 필요경비를 반영하여 소득금액을 계산하시면됩니다.근로소득자가면, 각종공제 (월세세액공제등) 받으시면됩니다.
증여세
2024년 5월 4일 작성 됨
Q.
외국인도 한국국적 자녀에게 돈이나 .재산을 주면 .상속세가 있나요?
정확히는.세법상 거주자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1년에 184일이상 국내에 거주하면, 거주자입니다. 받는사람이 거주자라면1) 증여세공제 (부모에게 수령시 5천만원, 미성년자라면 2천만원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2) 5천만원 초과시 증여세신고를 해야합니다.
종합소득세
2024년 5월 3일 작성 됨
Q.
종합소득세 Ars신고하는데 개별인증번호?
우편으로 받은 '종합소득세 신고 안내문', 홈택스 또는 모바일 카카오 국세청 채널이 보낸 알림톡에서 확인 가능합니다.우편을 확인해보세요
연말정산
2024년 5월 3일 작성 됨
Q.
종합소득세 신고는 어떻게 하는건가요?
이전에 누락하셨어도 괜찮습니다. 5월 신고때 정확하게 기재하여 제출하시면됩니다.종전회사에서 원천징수명세서를 제출하여서, 홈택스에서 조회가 가능할것입니다.월세납부액 정보를 기재하여 세액공제 신고하시면 됩니다.주민등록등본, 임대차계약서, 계좌이체 영수증 첨부하시면됩니다.
종합소득세
2024년 5월 3일 작성 됨
Q.
건강보험료 납부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A. 취득일 4대보험 취득일은 입사일을 기준으로 합니다.B. 신고 기한1) 건강보험: 입사일 이후 14일 이내2) 국민연금/고용보험/산재보험: 입사 월 다음달 15일까지입사일 이후 14일 이내에 신고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4월 1일 기준으로 회사에 근무중이었으므로, 건강보험료를 회사기준으로 납부하시면됩니다. 납부하지않으시고, 건강보험공단과 이야기하거나, 기다리시면되겠습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