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연량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연량 전문가입니다.

김연량 전문가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산만한 아이는 어찌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연량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먼저 아이의 산만함의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주로 언제 산만한지 만약 하루종일 그렇다면 ADHD 고려해봐야 하는데 특정 행동시만 산만하다면 그활동을 좋아하지 않아서 다른 선호 활동을 찾는 것인지 살펴보아야 합니다.식사 시간의 경우 아이가 자리에서 일어나는 것을 허용하지 말아야 하는데 만약 자리에서 일어나 움직이면 한 두번 경고하고 그래도 반복하면 식사를 종료해야 합니다.그리고 활동시 주변에 TV를 켠다든가 장난감이 많다든가 등 자극요인이 아이의 산만함을 자극할 수 있으니 분위기 형성도 필요합니다.부모의 일관된 지도와 평소에 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합니다. 아이를 흥분시키고 더 산만하게 하는 공통 요인 분석도 필요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들이 조부모와 자랄때 주의해야할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연량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훈육은 앞으로 아이가 사회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가르치는 생활지도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합니다”며 “부모, 조부모 등 가족의 역할이 절대적”입니다. 아이의 행동, 습관의 변화를 유도해 올바른 인성과 사회성을 갖춘 어른으로 성장하게 하는 것이 훈육의 목적이라면 이제 그 방법을 고민해야 합니다.일관성 있는 지도는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 입장에서 무엇이 옳고 그른지 판단하는 기준이 될 뿐 아니라 책임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부모와 조부모의 의견이 상충할 때에는 아이 앞에서 의견을 주고받지 말아야 합니다. 바른 판단과 행동을 보고 배워야 할 아이에게 눈치 보는 법을 가르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의논을 통해 합치된 훈육 방법을 적용, 일관성 있게 아이를 지도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특히, 조부모가 아이를 양육하는 경우 의존적인 성향이 될 가능성이 있어 스스로 책임지게 행동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4살은 왜 말을 안들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연량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4세 아이는 스스로 하는 것을 좋아하고 독립성을 가지는 시기로 질문을 하고 이해하기 전까지는 절대 굽히지 않고 자신의 뜻만을 고집할 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의 이런 시기를 이해하고 이에 대해 공감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무조건 떼를 쓰고 고집을 피울 때는 적절하고 단호한 제한이 필요합니다.아이가 실수를 할 경우 이를 알려주고 개선할 수 있는 안정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좋은 태도를 배울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을 주고 기다려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화장실을 못가리는 아이 어떻게 교육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연량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발달 과정에서 준비될 때까지 기다려 주는 것이 좋습니다. 대소변 가리기는 아이가 주체가 되어야 합니다. 다소 빠르거나 늦는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아이는 대소변 가리기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대소변 가리기 훈련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대소변을 가리게 되면서 얻어지는 아이의 자존심을 최대로 키워 주는 것입니다. 단기 목표(대소변 가리기)의 달성을 위해 장기 목표(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아이)를 희생시켜서는 안 됩니다. 부모는 대소변에 대한 혐오감을 아이에게 전달해서는 안 되며, 아이에게서 나오는 훌륭한 선물처럼 대해 주어야 합니다. 아이는 변을 자신의 몸의 일부로 생각하기도 합니다. 부모가 대변을 보고 인상을 찡그리거나 “아이, 더러워”, “휴 냄새”하는 식으로 지저분한 것을 보듯 대하면, 아이는 어른들이 자신의 몸의 일부(즉, 자신)를 더럽게 생각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심리적으로 위축될 수 있습니다.  답답하고 조바심이 나더라도 긍정적 반응을 통해 스스로 깨우치게 도와주십시오.
놀이
놀이 이미지
Q.  눈옆 상처 꿰매야 할가요? 판단이 서지않아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연량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고민하지 마시고 피부과나 성형외과를 가세요. 만약 연고나 부착용 재생 밴드를 처방받으려면 피부과가 좋을 거 같고 만약 봉합을 생갹하시면 성형외과를 가세요. 흉터생기지 않게 나을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고집이세고 잘우는 아이 훈육법은?
안녕하세요. 김연량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자의식이 강해지는 생후 18개월 이후부터 소위 말하는 '똥고집'이 생긴다고 합니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면 화를 내고 자기 뜻대로 될 때까지 울거나 데굴데굴 구르는 등 온몸으로 떼를 쓰는 시기가 오죠.스스로 생각을 하기 시작하고 '자기주장'을 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을 의미입니다. 하지만 떼쓰는 행동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것은 나쁜 버릇입니다.나의 양육 태도 돌아보기전문가 대부분이 떼쓰는 아이들의 공통점으로 '부모의 잘못된 양육태도'를 꼬집습니다. '아이가 어려서', '아이가 너무 울어서'란 이유로 '해달라고 하면 다 해주는 버릇'을 들여놓은 것이 큰 문제라고 입을 모으는데요. 울거나 떼를 쓰면 결국 자기 뜻대로 된다는 것을 생활 속에서 터득(?)한 아이가 극단적인 방법으로 부모의 불안감을 자극해 결국 항복을 받아낸다는 것입니다. 아동심리 전문가인 정유진 하이 토닥 아동발달심리센터 소장은 아이와 지내는 동안 녹음기를 켜놓는 것을 추천하는데요. "녹음된 내용을 들어보면 자신의 양육 방식이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바로 깨달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합니다.아이가 떼를 쓸 때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가르쳐야 합니다. 부모는 아이가 떼쓰고 울며 요구하는 것은 절대로 들어주지 말아야 합니다. '아이가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정확하게 인식시켜야 합니다. 마트에서 장을 볼때 장난감을 얻기 위해 막무가내로 우는 경우 마트에 온 목적을 반복해서 알려줘야 합니다.저항이 심할 때는 기다림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오랫동안 떼를 써서 주변의 눈치가 보이더라도 기다려야 합니다.동기 부여가 필요합니다. 채찍만큼 필요한 것이 '당근'입니다. 아이가 떼를 쓰지 않을 때 많이 칭찬해주세요. 아이가 울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볼 때마다 사랑을 가득 담아 안아주세요. 아이가 바람직한 행동을 할 때마다 과자, 사탕을 주는 보상이나 나들이를 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아이가 밥을 안먹고 맨날 딴짓만할땐?
안녕하세요. 김연량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먼저 아이의 산만함의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주로 언제 산만한지 만약 하루종일 그렇다면 ADHD 고려해봐야 하는데 식사시만 산만하다면 그활동을 좋아하지 않아서 다른 선호 활동을 찾는 것인지 살펴보아야 합니다.식사 시간의 경우 아이가 자리에서 일어나는 것을 허용하지 말아야 하는데 만약 자리에서 일어나 움직이면 한 두번 경고하고 그래도 반복하면 식사를 종료해야 합니다.그리고 식사시 주변에 TV를 켠다든가 장난감이 많다든가 등 자극요인이 아이의 산만함을 자극할 수 있으니 분위기 형성도 필요합니다.독이 되는 음식은 안됩니다. 아이가 평소에 과자나 아이스크림, 패스트푸드를 즐겨먹는지 아닌지 체크해보아야합니다. 아이들이 이런 음식을 좋아하지만 이런 것들이 아이를 흥분시키고 더 산만하게 할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눈치를 많이 보는아이 자존감 높이는 법은?
안녕하세요. 김연량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자신감이 낮은 아이는 쉽게 불안해하기 마런인데, 아이들의 불안감은 부모의 행동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민하고 아이에 대한 성급함이 아이의 상황을 지나치게 통제하고, 어떤 상황이든 부모가 직접 나서서 처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가 많이 어릴 때는 안전을 위해 통제가 필요하지만, 자랄수록 스스로 결정하고 도전할 수 있도록 기다려줘야 합니다. 작은 것부터 스스로 해결하는 연습을 해야 어떤 불안감도 스스로 극복하여 눈치를 보지 않게 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신생아(생후 4주) 마스크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김연량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2세 미만은 마스크 쓰면 안돼"...질식·뇌손상 가능성정부는 현재 2세 미만 유아의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지 않고 있다. 질식의 위험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그럴까. 전문가의 답변은 "그렇다"이다.안종균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소아감염면역과 교수는 7일 "24개월 미만은 질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와 미국 CDC(질병통제예방센터) 등에서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말했다.안 교수는 "(마스크가) 완전히 덮으면 호흡하는 힘이 약해 질식의 위험이 있다"며 "물리적으로 숨을 막아버리는 원리가 될 수 있어 위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혜진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역시 "2세 미만의 영유아는 질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천 마스크를 쓰는 것도 권유하지 않는다"고 밝혔다.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703_0001083419
놀이
놀이 이미지
Q.  아이의 창의력 개발에 좋은 놀이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연량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병원놀이만 4세가 되면 아이들은 특정 직업을 가진 사람들을 모방하려 합니다. 의사나 간호사, 우체부, 소방수의 역할을 흉내 내는데 필요한 장난감은 이런 아이들의 놀이를 더욱 활력 있게 해줍니다. 또 친구들과 역할을 나누어 하는 이런 종류의 놀이를 통해 좀 더 확대된 사회를 배우게 되고 사회성을 기르게 됩니다.블록이나 퍼즐놀이블록은 아이의 창의력을 자극하는데 가장 필요한 장난감입니다. 만4세나 6세 시기에 블록류는 아이의 창조력이나 상상력을 자극하는데 필수적입니다. 만3세 아이는 블록 놀이에서 구조물을 만드는데 주로 관심을 나타내고, 만4, 5세가 되면 보다 복잡하고 정교한 건물을 만들어 소꿉놀이 등의 다른 놀이를 위한 세팅으로 다시 활용하게 됩니다.퍼즐 놀이를 처음 시작하는 아이들은 단순한 모양의 퍼즐 5, 6조각을 맞추는 정도지만 만 4세가 넘으면 능숙하게 20조각 이상을 맞춥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