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전문가입니다.
김의균 전문가
논현재활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3개월 전 작성 됨
Q.
엄지발가락이 부었어요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일단 사진상 정확한 상태를 확인하기는 어려우나 말씀하신 증상등을 종합해서 고려해보았을 때 내성발톱의 염증 또는 가염이 진행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며 고름이 나온다는 것은 세균 감염이 이미 진행되고 있는 상태로 병원 진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방치 할 경우 감염이 피부 깊숙이 퍼지거나 당뇨병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심각한 합병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니 조기에 병원에 방문하시어 적절한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병원에서는 소독 및 고름 제거 항생제 처방 및 와이어 시술 또는 고름이 많이 차거나 괴사 우려가 있는 경우 절개 후 배농등의 수술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가까운 피부과나 혹은 족부 전문 정형외과에 방문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재활·물리치료
3개월 전 작성 됨
Q.
운동 후 근육통이 심할 때 집에서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운동 후 근육통이 심할때 무리없이 회복을 돕기 위해서는 적절한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운동 직후 1~2틀까지는 차가운 냉찜질을 통해 염증의 완화 및 부종 억제 통증을 경감 시켜주시는게 좋으며 이후엔 따듯한 온찜질을 통해 근육의 이완 및 혈액순환의 촉진 그리고 회복 속도를 증가시켜주시는게 좋으며 가벼운 스트레칭 및 움직임의 개선을 통해 혈류를 증가시키고 회복을 유도해주는게 좋습니다. 또한 반신욕이나 족욕등을 통해 혈액순환을 증가 시켜 주시고 근육의 긴장을 완화 시켜주시는 것도 좋으며 폼롤러나 마사지볼등을 이용해 근육을 이완시켜주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충분한 수분 섭취 또한 중요하며 충분한 수면도 중요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3개월 전 작성 됨
Q.
허리 디스크와 협착증 증상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허리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 증상은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발생 원인과 통증의 양상 유발 자세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협착증 같은 경우 서있거나 걸을 때 다리의 통증 및 저림이 있고 다리 뒤쪽으로 타고 내려가는 통증이 있는게 특징입니다.앉거나 몸을 앞으로 숙이면 통증이 완화되고 허리를 굽히면 척추관이 넓어져 증상이 악화 될 수 있습니다.또한 오래 걸으면 다리의 힘이 빠지면서 다리가 풀리는 느낌이 들 수 있고 허리 자체도 묵직하게 아플 수 있습니다.디스크와는 다르게 양쪽 다리로 통증이 발생하며 저림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3개월 전 작성 됨
Q.
뒷꿈치로 짝다리로 인한 무릎 안정성 저하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평소에 오른발 뒷다리로 짝다리를 오래 집는 편이시고 어느순간부터 종아리와 오금이 붓고 무릎 뒤쪽이 덜컹덜컹하고 걷다가 다리를 쭉피면 과신전되서 반대로 접혀버릴것만 같은 상황에서 허벅지 햄스트링 종아리 운동하면 좀 괜찮아 지고 하신다면 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해서 특정 근육 및 인대 구조의 약화로 인한 긴장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햄스트링 근육 및 종아리 근육은 무릎의 후방을 지지하는 주요 근육으로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을 통해 근육의 기능 회복 및 무릎의 후방 안정성을 키울 수 있고 혈액순환을 개선 시켜 부종을 감소 시킬 수 있습니다.일단을 짝다리 자세는 피해주시는게 좋으며 꾸준히 햄스트링 강화 운동 및 둔부 운동을 같이 해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그렇지만 통증이 지속되시거나 심해지신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정확한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정형외과
3개월 전 작성 됨
Q.
만성 발목불안전증 4개월째 치료중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만성 발목 불안정증이 4개월째 진행중이신 상태이시다면 MRI를 먼저 찍는 것도 충분히 고려해볼 수 있는 상황으로 충격파 치료 후에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고 4개월이상 통증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으로 보아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정확한 상태 파악해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281
282
283
284
2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