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대출조회 자주하면 신용등급이 낮아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대출 조회를 어느 은행권에서 했는지에 따라 시그널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가령, 제2금융권, 그리고 위험도가 높은 금융권을 통해서 자주 대출 조회를 하는 것은 신용정보회사에 좋은 시그널이 아닐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과도한 조회만 아니라면, 조회 정보만으로는 신용등급을 낮추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코인투자에 도움이되는 책들좀 추천해주실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인 투자 초보자를 위한 책으로는 송범근의 "외계어없이 이해하는 암호화폐" 정도로 시작하면 어떨까 싶습니다. 그 뒤로는 감을 잡으시고, 투자에 필요한 많은 양의 책을 함께 살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코인 관련 책들이 많이 쏟아져 나오지만, 결국 투자에는 본인의 책임이 따르므로, 반드시 스스로의 투자원칙이 필요하다고 사료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두권의 책만으로는 자신의 관을 정립하는 것은 다소 무리일 수 있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일본은 왜 국채금리, 즉 기준금리를 올리기가 힘들죠??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를 올리면 가장 크게 걱정하는 것 중의 하나가 투자 위축, 국내경기 위축입니다. 일본 정부가 보았을 때, 인플레이션의 상승 압력을 누르는 것도 큰 부담이지만, 동시에 금리를 건드려 잘못 올렸다가는, 스태그플레이션에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 수 있다는 불안감이 금리 상승기조를 더 완만하게 가져가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임금 인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임금인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생산성"입니다. 물가 상승률 만큼 임금 상승이 되려면, 적어도 생산성이 예전 수준 이상을 향하고 있어야 합니다. 냉정하지만, "생산성"이 개선되지 않았는데, 임금만 높이는 것은 회사 차원에서는 장기적인 영속성의 소멸을 의미합니다. 경제가 호황기에는 각종 인센티브로 직원들을 리텐션하지만, 불황기에는 이마저도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거시경제와 미시경제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시경제학은 개별적인 산업(농산물, 원유, 원자재 등)에 대한 개별 경제주체(기업, 정부, 가계)의 행동을 다룹니다. 이러한 미시경제 요소들이 모여서 국가 전체에 대한 거시경제를 형성하죠. 케인즈가 '고용, 이자, 화폐에 관한 일반이론'을 발표하면서 거시경제학이 학문적으로 체계화되었다는 평이 많은데요, 국가의 고용, 이자율, 화폐에 대한 경제를 거시 경제라고 의미할 수 있겠어요.정리하잠녀, 미시경제는 거시경제를 이해하기 위한 시작점일 수 있어요. 그렇지만, 미시경제의 단순 합이 거시경제를 예상하는 완전한 공식은 아닙니다. 미시경제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이 워낙 다양하게 일어나기 때문이죠.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