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운송에서 안전운임제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화물자동차 차주에 대한 적정한 운임의 보장을 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저운임으로 인한 과로, 과적, 과속운행을 개선한다는 의도를 가지고 있어요. 그리고 "적정한 운임"에 대해 현재는 운송 1회당 운임 비용을 "최저 운임액"을 정해놓았어요. 한국안전운임연구단에 따르면(약 400명 대상 조사), 과적 경험은 약 11%p, 졸음운전 경험 비율은 약 21.8p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3년 일몰제로 2020년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1. 계속 이 제도를 유지할지에 대한 이견 2. 적정 운임료를 어떤 수준으로 정할지에 대한 이견이 두가지에 대해 화물차주, 정부주체, 국민들 개개인의 관점이 다를 수 있어 의견을 조율하는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대출금액은 그대로인데 대출 건수를 줄이면 신용점수에 도움이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신용평가등급은 각각 신용평가사의 로직에 의해, 상황에 의해 변동하기 때문에 가늠할 수 없습니다.다만, 개인적인 소견으로, 다수의 대출보다는 단수의 대출이 더 유리할 것으로 보이지만, "전체 대출금의 변동(감소)이 없다면 신용 점수에 큰 메리트가 없을 수 있다" 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을까 합니다.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통장신설시 창구방문을 굳이 해야 되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개인적인 소견으로 창구방문을 두는 이유는 두 가지일 것으로 추측됩니다. 1. 대면 검증 절차의 필요성 : 보안상 등의 사유로 대면 검증 및 계좌개설의 필요성-> 모바일 보안이 상당히 강화된 지금의 시점에서 설득력이 약하지만, 일부 사이버 보안 환경이 정립되지 않은 은행권은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예금주의 성향 파악의 필요성 : Willingness to pay, 등 예금주 성향 및 정보를 파악하기 위함-> 좋은 조건의 예/적금이 특판으로 나왔을 때, 번거로움을 감수할 수 있는 수요층을 흡수하고, 그 수요층을 신규 고객으로 모을 수 있습니다.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앞으로 세계경제 국내경제는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너무 거시적인 질문이어서, 짧은 답변에 다 담아내기는 무리가 있음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또한 제 주관적인 소견을 정리하여 전달드리자면, 역사적인 사이클로 판단할 때, 현재는 너무나도 어려운 세계 경제는 2년 내로 어려움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내년 초 인플레이션 기조가 잡힌다면 -> 23년 하반기부터 금리를 서서히 하락(코스피 지수 회복 시작) -> 24년 중순에는 금리가 다소 안정화 (코스피 지수 회복 기조 뚜렷)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