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2월 7일 작성 됨
Q.
겨울과 봄을 구분짓는 기준이 있나요?
과학적인 기준은 없습니다.봄과 겨울의 경계는 딱 잘라서 말하기는 어렵습니다.굳이 나누자면 지구와 태양 사이의 위치에 따라 나눌 수는 있겠습니다.
화학
2023년 2월 7일 작성 됨
Q.
플라스틱 1회 용기를 세척하는 것과 그냥 버리는 것 중 어떤 것이 환경에 이로운가요?
플라스틱을 최대한 세척하는 것이 환경에 더 이롭습니다.재활용을 할 때 세척되지 않은 플라스틱은 실제로 재활용이 되지 않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7일 작성 됨
Q.
이뉴잇족의 집인 이글루는 연료가 필요없이 지낼 수 있다고 하는데 어떤 과학적 원리로 집을 짓고 생활을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이글루 내부는 상당히 따뜻하기 때문에 차가운 겨울을 보내기 쉽습니다.먼저 이글루가 눈으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내부의 공기가 잘 빠져나가지 않습니다.그리고 내부가 추워지면 바닥에 물을 뿌리는데,이 물이 얼게 되면서 물이 가지고 있던 열에너지(=응고열)가 나오게 됩니다.따라서 이글루 내부는 연료가 없어도 계속 따뜻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화학
2023년 2월 7일 작성 됨
Q.
기내식을 맛없게 느끼는게 기내 상황때문인가요???
고도가 높기때문입니다.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고, 화력도 낮아지게 됩니다.따라서 끓는 점이 낮아지게 되고 물이 끓더라도 땅에서 끓인 온도 100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음식이 익게 됩니다.따라서 상대적으로 맛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7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다른나라들보다 상대적으로 강한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지진과 화산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들을 환태평양 조산대라고 합니다.판구조론에서 판의 경계는 지각 변동이 활발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며,이러한 환태평양 조산대가 바로 판의 경계가 됩니다.즉, 판의 이동으로 인해 지각이 움직이게 되고 이것이 지진 활동에 영향을 미칩니다.이 환태평양 조산대의 경계에 바로 일본이 있기 때문에 일본에 지진이 자주 발생합니다.다행히 우리나라는 이 경계에 없어 지진이 조금 덜 한편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2월 7일 작성 됨
Q.
VR과 AR의 용어 간 차이는 어떻게 설명해야 알 수 있나요?
메타버스는 크게 VR, AR, MR, XR로 나눌 수 있습니다.여기서 VR, AR은 다음과 같습니다.VR = 100% 가상공간입니다. 간단히 말해 게임 속 세상입니다.AR = 현실 세계에 가상 물체를 띄우는 것입니다.핸드폰 카메라를 켰는데 카메라가 보고 있는 현실 세계에 가상 포켓몬이 나오는 것이 그 예 입니다.
화학
2023년 2월 7일 작성 됨
Q.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하면 결과가 어떻게 되나요?
오염수로 인해 방사능 피폭이나 환경 오염이 유전자에 변형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비정상적인 에너지로 인해 DNA가 변경되어 유전자 변이가 일어나게 됩니다.특히 이러한 증상은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가 터진 후에 자주 발생되기도 하였습니다.
물리
2023년 2월 7일 작성 됨
Q.
다 똑같아보이는 바코드는 무슨 법칙이라도 있나요?
바코드는 부호화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합니다.바코드의 막대기 모양이 일렬로 나열된 것을 부호화 합니다.그리고 이 부호화된 내용을 스캐너를 바탕으로 해독하여 원하는 정보를 읽을 수 있습니다.바코드가 비슷해보이지만 바코드의 선이 있냐 없냐로 0과 1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바코드의 길이가 N이라면 2^N이라는 매우 많은 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N = 20이라면 약 100만입니다.)
물리
2023년 2월 7일 작성 됨
Q.
지진을 표현하는 단위를 비유해서 설명해주세요?
지진의 강도가 2.5라면 예민한 사람이 진동을 느낄 수 있고,3.5 정도에 대부분의 사람이 감지할 수 있습니다.5이하의 강도에서는 창문이 파손되기 시작하며7이하라면 오래된 구조물이 파손되기 시작합니다.강도가 9이하라면 산사태의 위험이 있고 그 이상은 건물이 점점 파괴되기 시작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7일 작성 됨
Q.
토성에 고리는 왜 중력으로 뭉치지 않았나요?
토성의 고리는 여러 크기의 얼음이 모여 형성되었습니다.토성이 생성되면서 남은 물질들이 고리를 이룬것으로 보고 있습니다.이 물질들은 토성 주변을 원운동하기 때문에 중력으로 뭉치지 않습니다.
51
52
53
54
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