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추울 때 코가 빨게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신체 기관 중 코는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예를 들어 건조할 때는 콧물을 내보내서 습기를 유지합니다.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떨어진 온도를 다시 높이기 위해 콧등에 혈액이 모이게 되고,혈액이 모여 혈관이 확장되면 빨갛게 보이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마른번개가 왜 생기며 그렇게 위험한건가요?
마른 번개라고 해서 다른 번개와 큰 차이점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하지만 보통 번개는 비바람과 함께 동반되는데,마른 번개는 오직 번개만 있는 경우입니다.이 경우 건조하기 때문에 번개가 산과 같이 나무가 모여있는 곳에 내리치게 되면,비가 없으므로 쉽게 발화하여 산불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물리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너클볼이나 플랫 서브처럼 공에 회전이 없으면 더 많이 흔들리는 원리는?
무회전하는 공이 흔들리는 효과를 카르만 효과라고 합니다.회전하지 않는 공이 공기를 지나가게 되면 공의 뒤편에 소용돌이가 생깁니다.이 소용돌이를 카르만 소용돌이라고하는데, 공과 같은 동그란 표면으로인해 유체가 불완전하게 분리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따라서 이 소용돌이에 의해 공 뒤의 공기가 무작위적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의 순간의 기압 차이로 공이 진동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인공위성이 어떻게 행성의 주위를 공전하는건가요?
인공위성이 한번 올라가게 되면 관성에 의해 계속 움직이려고 합니다.관성이란 물체가 운동상태를 계속 유지하려고 하는 성질입니다.우주에는 공기가 없기 때문에 공기에 의한 마찰도 없어서 물체가 한번 움직이면 계속 움직일 수 있습니다.인공위성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지구로 다시 떨어지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서리가 내리면서 흙이 일어서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물은 얼게되면 부피가 커지게 됩니다.토양에 포함된 물이 얼게되어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땅이 위로 솟게 됩니다.여기에 서리나 물방울이 계속 떨어지게 되면 낮은 온도로 인해 떨어진 물방울까지 결합하여 얼게 되어 솟아오르게 됩니다.
화학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꿈은 왜꾸는 것이며 어떻게 꾸게 되는것인가요?
과학적 측면에서 보는 꿈을 꾸는 이유는 렘 수면 상태이기 때문입니다.안구의 움직임이 빠르게 일어나는 상태인 렘 수면은, 얕은 잠을 자고 있는 단계 입니다.이 단계에서 수면 중 뇌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꿈입니다.즉, 꿈은 깊은 잠을 자지 못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화학공학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스프레이는 어떤 원리로 분사가 되나요?
스프레이는 스프레이 통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 차로 인해 분사를 할 수 있습니다.분사할 때 액체와 기체를 함께 내보내게 되는데,스프레이를 누름으로써 내부의 압력이 급속도로 증가하여 기체가 뿜어져 나가게 되고,이 기체 내부에 액체가 같이 분사되어 나가게 됩니다.
전기·전자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전기는 전압을 보고 전기라고 하나요 아님 전류를 보고 전기라고 할까요?
전기는 전하와 관련된 현상을 뭉뜽그려서 말합니다.실제 과학적으로 전압과 전류라는 정확한 명칭으로 구분합니다.전압은 전하를 이동시키는 위치에너지의 개념이고, 전류는 실제 전자가 얼마나 흐르냐의 양입니다.
화학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면이불과 극세사이불 중 뭐가 더 따뜻한가요?
https://www.dailypop.kr/news/articleView.html?idxno=37463실제 실험한 내용이 있어서 기사를 첨부드립니다.요약하자면 거위털이나 극세사 기모가 보온 성능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화학
2022년 12월 2일 작성 됨
Q.
체감 온도는 어떻게 측정하나요?
실제로 사람이 느끼는 온도가 다르지만, 체감온도는 공식으로 정의를 해두었습니다.체감온도 = 13.12+0.6215 × (온도) -11.37 x (바람의 속도)^0.16+0.3965 (바람의 속도)^0.16×(온도)입니다.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온도는 습도나 바람에 의해 결정되는 요인이 있어공식으로 정의를 해두었습니다.
851
852
853
854
8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