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백신을맞으면 정말 코로나에 안걸리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백신을 맞더라도 코로나에 안걸리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데이터에 따르면 백신 접종 후 COVID-19에 걸린 경우에도, 백신은 증상을 덜 심각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또한 현재까지의 결과를 보면 모든 백신이 2차까지 접종을 마치더라도 대략 6개월정도 지나면 항체생성률이 떨어져서 부스터샷이 필요한 상황입니다.참고로 질병청에 따르면 접종자 10만 명당 돌파감염 발생은 60대 119.9명, 70대 123.9명 그리고 80대 143.9명으로 고령자가 40대 이상 성인의 두 배에 달하고 있다도 합니다. 30대(134.3명)에서 돌파감염이 제일 높은 것은 접종 백신의 종류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군인들이 많이 접종받은 얀센 백신은 266.5명(10만 접종자 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99.1명, 화이자 백신 48.2명, 모더나 백신 4.6명으로 돌파감염이 생겼다고 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Q. 부스터샷 맞아야 할까요? 고민이에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까지의 결과를 보면 모든 백신이 2차까지 접종을 마치더라도 대략 6개월정도 지나면 항체생성률이 떨어져서 부스터샷이 필요합니다.특히 얀센접종자의 경우 예방효과가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접종 후 2달이 넘은 분들에게 부스터샷 사전예약 접종 대상에 포함되어 있습니다.참고로 질병청에 따르면 접종자 10만 명당 돌파감염 발생은 60대 119.9명, 70대 123.9명 그리고 80대 143.9명으로 고령자가 40대 이상 성인의 두 배에 달하고 있다도 합니다. 30대(134.3명)에서 돌파감염이 제일 높은 것은 접종 백신의 종류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군인들이 많이 접종받은 얀센 백신은 266.5명(10만 접종자 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99.1명, 화이자 백신 48.2명, 모더나 백신 4.6명으로 돌파감염이 생겼다고 합니다.
Q. 부스트샷은 2차접종 후 언제가 제일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부스터샷 접종간격은 현재까지 다음과 같습니다.1) 현재 국내에선 기본접종 완료 후 6개월 이상 지난 60대 이상 고령층 및 고위험군,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등 우선접종 직업군, 50대 연령층 등을 대상으로 추가 접종(부스터샷)을 진행 중입니다.2) 단,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 취약시설 입소·종사자와 60대 이상 고령층, 대학병원·종합병원 등 의료기관 종사자는 5개월, 얀센 백신 접종자와 면역 저하자 등은 2개월로 접종 간격을 줄였습니다.3) 현재 확진자 증가로 인해 모든 추가 접종 대상자의 접종 간격을 6개월에서 5개월로 단축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오고 있습니다. 추가 접종 지침에 따르면 집단감염이 우려되는 집단은 추가 접종 간격을 6개월에서 4주 앞당길 수 있다고 합니다.
Q. 코로나의 주요 증상과 지속 기간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코로나19의 가장 흔한 증상은 발열, 마른 기침, 피로이며 그 외에 후각 및 미각 소실, 근육통, 인후통, 콧물, 코막힘, 두통, 결막염, 설사, 피부 증상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증상이 있는 분들은 보통 완치까지 20일정도 걸리는 것으로 나타납니다.이러한 증상은 보통 경미하고 점진적으로 나타납니다. 어떤 사람들은 감염되어도 매우 약한 증상만 나타날 수 있습니다.대부분의 환자들(약 80%)은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되나, 5명 중 1명 정도는 중증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고령자나 고혈압, 심폐질환, 당뇨병이나 암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많이 아프면 의료기관의 도움을 받으셔야 합니다. 특히 호흡 곤란 또는 숨 가쁨, 언어 또는 운동 장애, 착란 증상, 가슴 통증과 같은 심각한 증상은 반드시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무증상 격리해제 조건의 경우 확진일로부터 10일 경과,하고 이 기간 동안 임상증상 미발생 해야 합니다.유증상자의 경우 증상 발생 후 최소 10일 경과, 최소 24시간 동안 해열 치료 없이 발열이 없고 임상 증상이 호전되는 추세여야 합니다.[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기타 의료상담
Q. 백신 접종자와 미접종자 감염의 경우 차이가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현재까지 연구결과로 보면 부스터샷을 접종했을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입원위험과 중증질환의 위험, 그리고 사망위험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3차 접종은 선택이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부스터샷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cf) 이스라엘 인구 절반의 의료정보를 관리하는 클래리트보건서비스(CHS)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올해 7월 30일부터 9월 23일까지 화이자 백신 3차 접종을 받은 12세 이상 72만8321명의 백신효과를 분석했습니다. 또 5개월 이전에 같은 백신을 2회 접종한 동일한 숫자의 사람들에 대한 백신효과를 분석해 비교했습니다.그 결과 5개월 전에 2회만 접종한 사람에 비해 3회 접종(3회 접종 후 7일 이상)한 사람은 코로나19로 인한 입원 위험이 93%, 중증 질환의 위험이 92%, 사망 위험이 81% 낮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백신 효과는 성별, 연령대(40~69세, 70세 이상) 및 동병상련 횟수에서 유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Q. 코로나 1차 맞고난 뒤 2차를 몇개월 이내에 맞아야 하는 기간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1. 1차-> 2차 접종간격어떤 백신주사냐에 따라 다르지만, 현재 접종중인 mRNA 백신을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화이자 접종의 경우 1차 접종 후 3주모더나 접종의 경우 1차 접종 후 4주후에 2차접종을 권장하고 있습니다.그러나 필요하다면 1차 접종 후 최대 6주(42일)까지는 2차 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빨리 2차 접종을 받지는 않아야 합니다. 권장 간격보다 일찍 또는 1차 접종 후 6주 이상 지나 2차 접종을 받을 때의 효과에 대해서는 현재 제한적인 정보가 존재합니다.2.부스터샷 접종간격1) 현재 국내에선 기본접종 완료 후 6개월 이상 지난 60대 이상 고령층 및 고위험군,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등 우선접종 직업군, 50대 연령층 등을 대상으로 추가 접종(부스터샷)을 진행 중입니다.2) 단,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 취약시설 입소·종사자와 60대 이상 고령층, 대학병원·종합병원 등 의료기관 종사자는 5개월, 얀센 백신 접종자와 면역 저하자 등은 2개월로 접종 간격을 줄였습니다.3) 현재 확진자 증가로 인해 모든 추가 접종 대상자의 접종 간격을 6개월에서 5개월로 단축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오고 있습니다. 추가 접종 지침에 따르면 집단감염이 우려되는 집단은 추가 접종 간격을 6개월에서 4주 앞당길 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