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로나 환자와 2번 정도 밀접접촉했는데 증상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무증상 확진여부는 코로나 검사를 통해서만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밀접접촉하더라도 감염이 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COVID-19의 주요 전파 방식은 다음 3가지와 같습니다.바이러스가 들어있는 비말이나 작은 입자를 내뿜는 감염자 가까이에서 공기를 들이마실 때바이러스가 들어있는 비말이나 작은 입자가 다른 사람의 눈, 코, 입에 묻을 때. 특히,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튀는 경우바이러스가 묻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질 때이와 같은 방식에서 접촉자와의 근접성, 노출시간, 당시 전파자의 증상, 기침빈도, 에어로졸 발생 행위 여부, 인구의 혼잡성 등 환경적 요인, 환기의 적정성, 실내 공간의 크기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감염확률이 결정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Q. 감염 5일차 입니다. 왜 다 낫지를 않는걸까요? 목이 계속 아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오미크론 감염 후 평균 2~5일정도 인후통, 기침, 가래 등의 상기도 증상이 생깁니다.격리해제 이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는데, 약을 복용하시면서 아이스크림같이 찬 것을 조금씩 곁들이시고 수분섭취를 통해 목 점막이 축축해지도록 유지해보시기 바랍니다.여러 조치에도 증상 호전이 없으시면, 병원에 가서 추가적인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Q. 2차접종후 코로나 확진, 부스트샷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1. 현재 정부에서는 코로나19 감염이력이 있는 2차접종 완료자는 면역저하자 고위험군을 제외하고는 3차접종을 권고하고 있지는 않습니다.따라서 2차접종자가 코로나 확진 후 완치가 된 상태라면 3차 접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입니다.2. 다만, 2차까지 맞고 확진된 경우에도 3차를 맞는 것이 좋다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있습니다. 백신 접종 자체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지만,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중증 진행을 막기 위한 목적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오미크론과 같이 언제 등장할지 모를 또다른 변이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접종을 권하고 있습니다.현재 후유증으로 몸상태가 좋지 않으시면 당장 지금 억지로 3차 접종을 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추후 컨디션 회복 후 3차 접종을 고려해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Q. 고지혈증 및 대사증후군 코로나 약처방?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1. 팍스로비드 처방 대상은 △60세 이상 고령층 △면역저하자 △40·50대 기저질환자로 국한돼 있습니다. 이때 기저질환에는 당뇨병,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 만성신장질환, 만성폐질환, 암, 과체중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증상 발현 5일 이내에 복용해야 하는 조건이 있습니다.2. 팍스로비드는 고지혈증약인 로바스타틴, 심바스타틴과 같은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와는 병용이 불가능합니다.
Q. 코로나 감염 격리 종료 이후 전파 가능성은 없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에게서 얻은 검체 558건을 조사한 결과,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를 배양할 수 있는 기간이 증상 발생 뒤 최대 8일이었다고 합니다. 이는 8일까지 바이러스가 배양되고 9일 이후에는 배양되지 않았다는 뜻이며 7일이 대부분이었고 8일도 상당 경우 감염력이 약한 수준의 바이러스 배양이라 그 위험이 크지는 않다고 합니다.종합을 해보면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됐더라도 증상 발생 뒤 8일이 지나면 감염성 바이러스가 배출되지 않고, 이후 전파 가능성이 없음을 의미합니다.7일간의 격리 후 해제가 된뒤에도, 아주 조금이나마 남아있을 전파 가능성을 막기위해 3일정도는 마스크를 잘 쓰시고 혼잡한곳 방문을 피하고 사적모임을 피하는 등 거리두기를 하는것을 권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