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준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입니다.

김준오 전문가
영남대학교의료원
비뇨의학과
비뇨의학과 이미지
Q.  포경 관련 질문.. 포피가 애매하게 까져요
안녕하세요. 김준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입니다.발기되지 않은 음경에서 포피가 음경을 완전히 덮고, 젖혀지지 않아 귀두가 전혀 노출되지 않는 경우를 진성포경이라고 부릅니다.반면 포피를 젖혀 귀두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포피륜이 붓거나 좁아져 원상태로 되돌아오지 않는 경우를 감돈포경이라고 부릅니다.위 두 가지 경우에는 포경수술을 받는 것이 추천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포경수술을 반드시 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위 두 가지 경우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위생상의 이유로 포경수술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질문자분의 경우에는 포경수술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습니다.아직 청소년이시므로, 발기시 포피가 뒤로 완전히 젖혀지지 않는다고 해도 성인이 되고 난 후에 완전히 젖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그 외에도 포피는 성감대가 많이 분포하고 있으므로, 현재 포경수술을 진행할 경우에 득보다는 실이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성인이 될 때 까지 경과관찰을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산부인과
산부인과 이미지
Q.  양성근종(물혹), 제거수술 하는게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입니다.우선 2.7cm의 근종이 실제로 방광을 압박하여 빈뇨 증상을 유발하거나, 배뇨 후에도 근종으로 인하여 실제로 방광에 잔류한 소변의 양이 존재하는지 파악하는 우선이라고 판단됩니다.3cm미만의 근종이 그 자체로 방광 압박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입니다.건강한 여성에게서도 나이가 들면 골반기저근의 근육이 약화됨에 따라 빈뇨, 절박뇨, 잔뇨감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나의 증상이 근종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고 생각하기보다는, 외출 전 소변을 꼭 보고 나가고 외출 도중에는 이에 대하여 많이 신경쓰지 않는 자가되먹임(biofeedback) 치료를 먼저 시도해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된다면, 가까운 의원에 내원하여 초음파 등으로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기를 바랍니다.감사합니다.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곤지름일까요 외음부소양증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오 의사입니다.외음부의 병변으로 마음 고생이 심하실 것 같아 유감입니다. 사진상의 병변으로 보았을 때 곤지름일 가능성은 떨어져 보입니다.아토피 증세를 동반한 외음부의 소양증일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소양증 증상이 심할 경우 비판텐 연고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보습 및 소양증 완화 연고를 발라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모쪼록 빠른 회복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손톱안에 피가 고여있는건 어떻게 처치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오 의사입니다.굳이 제거하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사라지게 됩니다.손톱 자체의 손상이 심하여 덜렁거리거나 금이 갔다면, 손톱이 같이 빠지고 난 후 다시 자랄 가능성은 있겠으나,단순히 손톱 안에 피가 고여 멍이 든 증상일 경우에는 2~3주 정도의 시간이 흐른 뒤 평소처럼 돌아옵니다.감사합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거북목이 의심이 될 경우 마사지는 어떻게 해주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준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입니다.스마트폰의 보급과 사무직에서의 컴퓨터의 사용, 좌식생활을 주로 하는 현대인에게 거북목의 증상은 필수 아닌 필수가 되어버린 현실입니다.승모근과 두판상근이 긴장하게 되면 하나의 근막으로 이마부터 뒤통수까지 연결된 후두근과 전두근 등의 수축으로 두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위의 사진에서 보이는 근육들을 풀어주는 것이 거북목 증상 예방과 두통의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고식적으로 이전부터 사용해왔던 어깨 주무르기, 목 주변의 근육 주무르기 등이 도움이 되며, 바닥에 테니스공이나 고무공을 놓고 어깨-등 부근을 위치시킨 후 그 위에 누워 돌아가며 근육을 풀어주세요.두판상근의 경우는 마사지용 작은 폼롤러나 막대 등을 이용하여 긴장을 풀어주시는 것이 거북목 증상의 해소에 큰 도움이 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산부인과
산부인과 이미지
Q.  이게 임신 증상일 가능성이 높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오 의사입니다.콘돔을 착용하였더라도 연구 자료마다 조금의 차이는 있지만 피임의 실패 확률을 약 3%에서 14%정도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질외사정법의 경우에는 피임률을 70%미만으로 보는 의견이 대다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삽입의 시간이나 쿠퍼액의 여부 등은 설사 쿠퍼액에는 정자가 없다고 하더라도 피임이 확실하다 이야기하기 어렵습니다.두통과 복통, 감정예민과 소화불량 등은 생리전 증후군일 가능성이 높겠습니다만, 성관계로부터 2주의 시간이 지난 뒤 임신테스트기를 이용하여 확인해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넘어졌는데 무릎 통증이 좀 있네요..ㅠㅠ
안녕하세요. 김준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입니다.환부가 생각보다 깊어 꿰맸다니 유감입니다.엑스레이 촬영의 경우에는 미세골절이나 지연성 골절은 즉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지만, CT촬영까지 하셨다면 골절의 여부는 정확히 감별되었다고 여겨집니다.부딪혀 발생한 자상과 동반된 둔상의 경우에는 근육을 포함한 연부조직의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통증이 길게는 2주가량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당분간 보행을 삼가시고, 쉬실 땐 무릎을 베게나 의자 등으로 받쳐주어 심장보다 높게 유지해주는 것이 붓기 제거에 도움이 됩니다. 통증이 많이 심하실 경우에는 진통제 혹은 중추성 근이완제 등의 처방을 위하여 의원에 내방하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모쪼록 빠른 회복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한쪽 턱만 통증이 있고 소리가 납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입니다.귀 밑과 턱에는 입을 벌리는데에 도움을 주는 측두하악관절(temporomandibular joint)이 위치합니다.그 앞쪽으로는 저작 운동에 관여하는 저작근(masseter m.)이 자리하고 있씁니다.출처 : https://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tmj/symptoms-causes/syc-20350941매우 많은 수의 환자분들에게서 이 측두하악관절의 마모가 일차적으로 관찰되고, 그것을 보상하는 과정에서 저작근의 근육이 만성적으로 수축하며 부담이 가게 되어 해당 근육이 튀어나오거나, 눌렀을 때 통증을 주로 호소하게 됩니다.엑스레이나 초음파 등으로 해당 관절의 마모를 알아볼 수 있으며, 이학적 검사 상 저작근의 압통이 선명하게 관찰되는 경우도 많습니다.턱관절 질환이나, 구강안면통증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치과를 방문하시기를 권유드립니다.감사합니다.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처음으로 턱수염 제모를시작했는데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입니다.엠라크림 등의 리도카인의 성분이 포함된 마취크림의 경우는 도포 후 방치하는 시간에 따라 마취 깊이가 달라집니다.마취크림 도포 후 1시간 후의 마취된 피부의 깊이는 약 3mm, 2시간 후의 깊이는 약 5mm로 알려져 있습니다.반면 성인 남성 수염의 모낭의 깊이는 수염의 굵기에 따라 다릅니다. 수염이 굵을수록 모낭이 더 깊게 위치하여 마취크림의 효과가 미치는 깊이보다 더 깊은 곳을 타격하기 때문에 마취크림의 효과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수염이 굵고 억세 통증이 심하다면, 마취크림을 도포 후 많은 시간이 지난 뒤 레이저 제모를 받을 수 있겠으나,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은 아닐 것이라고 판단됩니다.통증이 많이 심하고 불편하시다면 국소마취제 크림이 아닌 수면마취 등의 정맥 마취제를 이용한 제모를 하는 의원을 찾아보시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겠습니다.감사합니다.
안과
안과 이미지
Q.  눈안에 여드름? 이거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준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입니다.해당 구조물은 여드름이 아니며 '반월추벽'이라고 불리는 구조물로, 인간에게서는 퇴화한 흔적기관입니다.눈물샘 옆에 존재하여 눈물샘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파충류나 조류에서는 세번째 눈꺼풀로서 눈을 보호하고 먼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지만,인간에게서 반월추벽이라는 구조물이 실질적으로 하는 역할은 없습니다.현재 사진만 보아서는 반월추벽에 별 다른 이상이 없어보입니다.눈을 비비는 과정에서의 마찰로 해당 구조물이 자극을 받아 조금 부어올라 더 크게 보이는 것으로 판단됩니다.눈의 충혈, 통증, 눈물이 흐르는 증상이 없을 경우에는 경과관찰 하여도 이상이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간지러운 증상이 지속될 경우 알레르기 검사 등을 위하여 안과나 내과 등의 방문을 권유드립니다.
1311321331341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