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관절통증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지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관절통의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크게 염증성/비염증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염증성의 경우에는 감염성 관절염, 통중, 류마티스관절염, 루푸스, 강직성철추염 등이 있으며,비염증성의 경우에는 골관절염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비염증성 관절질환의 경우에는 대개 아침에 경직되는 시간이 1시간 미만으로 짧게 지속되며 다른 전신 증상이 동반되지 않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비염증성 관절질환 중 하나인 골관절염의 경우에는 진통제 혹은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 등의 약물치료, 물리 치료 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만성적으로 전신에 통증을 동반하는 섬유근육통 등의 질환도 있을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바로는 노화로 인한 관절통증으로만 보기에는 전신의 통증을 호소하시기 때문에 추가 진찰 등이 필요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의 제약이 생길경우에는 적절한 약물치료 및 물리치료도 같이 동반되어야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대면 진료가 필수이며 답변은 참고사항으로만 하시고 가까운 의원이나 병원에 가서 대면 진료받으실것을 권유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이석증에 대해서 궁금해여 왜생기는건가여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지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이석증이란 평형 기관 중 하나인 반고리관 내의 이석이 원래 위치에서 이탈하여 생기는 질환으로 이로인한 심한 어지러움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이탈하는 원인은 사실상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외부충격, 바이러스 감염, 약물의 부작용 , 수술 등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는 되어있습니다.예방법으로는 전정 재활 운동등을 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증상 완화 및 재발을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어지러움이 발생할 경우 모든 원인이 이석증에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어지러움이 발생하신다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답변은 참고사항으로만 하시고, 증상 발생시에는 가까운 병,의원에 내원하셔서 대면 진료받으실 것을 권유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고혈압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지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연령의 따른 혈압기준은 소아/성인의 기준으로 나누고 있으며 성인의 경우 동일하게 보고 있습니다.성인의 경우 정상혈압은 수축기혈압 주의혈압으로 수축기혈압 120-129mmHg 이완기혈압 고혈압전단계로는 수축기혈압 130-139mmHg 이완기혈압 80-89mmHg고혈압은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완기혈압 90mmHg 이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말씀하신 혈압만으로 볼 때는 고혈압의 기준에는 해당이 되며,한번의 혈압만을 가지고 고혈압을 보지는 않습니다.스트레스가 있는 상황에서 측정한 혈압의 경우 평상시 쉴 때의 혈압보다는 높게 측정되기 때문에 24시간 혈압 측정 등을 고려하기도 합니다.예방방법으로는 짠음식은 피하며, 정기적인 매일 30분이상의 운동, 적절한 체중유지, 금연 및 절주, 스트레스 회피 등을 들수 있습니다.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대면 진료가 필수이며답변은 참고사항으로만 하시고 가까운 의원이나 병원에 가서 대면 진료받으실것을 권유드립니다.감사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건지 불면증인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지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수면장애란 불면증, 코골이, 수면과다증, 하지불안증후군 등 수면의 장애가 있을 경우를 말합니다.이중 하나인 불면증은, 잠이 들기 어렵거나, 자다가 자꾸 깨는 경우, 한번 깨는 경우 다시 잠들기 어려운 경우 등을 말하며, 질문자 분의 경우 불면증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불면증의 경우 하나의 증상으로 원인을 찾아서 수면 환경 교정 및 필요에 따라 약물치료 등을 고려해야할 수 있습니다. 수면센터 등에서 의료진 상의 후 검사 및 치료를 고려해보실 수 있으며, 대학병원의 수면센터에서는 정신건강의학과 이비인후과 신경과 심장내과 등 여러 과와 함께 협진을 보면서 원인이 무엇인지, 수면 중 무호흡은 없는지 심장이 원인이 되지는 않는지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분석 후 치료법 등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대면 진료가 필수이며 답변은 참고사항으로만 하시고 가까운 의원이나 병원에 가서 대면 진료받으실것을 권유드립니다.감사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스마트워치로 ECG (심전도) 체크해봤는데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지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보여주신 자료만으로는 부정맥의 유무를 말씀드리기엔 제한이 있습니다.부정맥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동성부정맥부터 시작하여,심방세동, 방실 차단, 빈맥-서맥 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말씀하신 증상으로 볼 때 부정맥 등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심장내과 내원하여 24시간 심전도 검사 등을 고려해보시거나, 심장초음파 등을 고려해보실 수 있습니다.24시간 심전도 검사는 휴대가능한 기기를 몸에 장착 후에 심전도 변화를 측정하는 검사이며 증상이 있을 때의 심전도를 확인함으로서 보다 정확하게 부정맥 등을 확인해볼 수 있는 검사 입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대면 진료가 필수이며 답변은 참고사항으로만 하시고 가까운 의원이나 병원에 가서 대면 진료받으실것을 권유드립니다.감사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mri 랑 ct차이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지현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CT의 경우 x선을 투과해서 조직 내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골절 및 해부학적인 구조를 관찰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예를들어 x ray상 골절이 애매하거나 좀더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 및 골절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추가로 CT를 찍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흉부질환 및 복부질환 등의 장기의 병변 등을 알아보기 위해 흉부CT,복부CT를 찍는 경우가 있습니다.MRI의 경우는 고자기장과 고주파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근육, 인대, 디스크 등의 신경, 뇌질환 등의 검사에 사용합니다.예를 들면, 인대 등의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MRI검사를 진행하며, 디스크 등을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허리 통증이 많이 심하셨나봅니다. 아마도 디스크 등을 감별하기 위해 MRI검사를 권유한 것 같습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CT는 주로 골절 등을 감별하며, 척수손상 등을 감별위해 MRI를 사용하여 검사 진행합니다. MRI기계 자체의 가격이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규모 있는 병원 급 이상에서 주로 검사가 가능합니다. 허리 통증이 어서 속히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