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6일 전 작성 됨
Q.
화학1 심화주제 탐구 수행평가 동위 원소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분자의 진동수는 질량에 반비례 하는게 맞습니다. 전이상태 통과에너지라고 부르지 않고 이를 활성화 에너지라고 불러야 맞습니다.아시겠지만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전이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가 있는데 이것이 활성화 에너지 입니다. 질량이 무거운 중수소 삼중수소는 경수소보다 질량도 높고 상대적 낮은 에너지 상태에서 활성화 에너지까지 도달해야 되기 때문에 더 높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므로 반응속도가 느리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6일 전 작성 됨
Q.
공예 작품을 만드는데 초보자의 접근 방법?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유리나 금속공예에 관심이 많으신것 같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게 있으시면 저한테 직접 물어보셔도 됩니다. 저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해설을 하고 있고 지인중에 금속공예 작가가 있어 공방에 가본적도 있고 공예작품을 해설한 경험도 많습니다.사실 학교에서 배우는 미술 중에 학교 바깥에서 배우기 가장 어려운 분야가 바로 공예입니다. 그 다음은 조각이라 불리는 조소 분야 입니다. 왜냐하면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인데 공예분야가 가장 많은 장비를 요구합니다.홍익대학교 공예학과는 이름이 금속조형디자인과로 금속과 장신구 위주로 수업이 진행됩니다. 유리, 금속 둘다 셀프로 배울 수 있는 수준은 아닙니다. 기존에 설명드렸다시피 장비가 필요하여 가정에서는 불가능하고 그나마 도자기 분야가 가정에선 불가하지만 금속이나 유리보다 배우고 만들기가 쉽습니다. 손으로 만드는 분야이다보니 지점토나 여러종류의 클래이로 작업을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금속이나 유리는 예쁘긴하나 처음부터 쉽게 다를 수 있는 재료가 아닙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6일 전 작성 됨
Q.
유리로 만드는 공예품은 그냥 술병 같은 걸로 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관련 답변을 드렸었는데 유리공예에 관심이 많으신것 같습니다. 토치랑 소주병도 혹시 직접 다뤄보셨나요? 보통 대학생들은 학교의 장비를 많이 사용하는데 소주병을 토치로 달구면 쉽게 잘리실것 같나요? 병만 가열되고 유리를 녹이기 위해선 일반 토치가 아니라 산업용 토치로 2000도까지 가는 장비를 사용하셔야 하기에 가정에선 불가합니다.유리공예 원데이 클래스를 한번 해보시고 결정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솜씨당 / 프립 / 로클 / 움클래스라는 원데이클래스 어플이 많은데 여기에서 유리공예 클래스를 찾아서 수업을 들어보시고 결정을 하시는게 좋으십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6일 전 작성 됨
Q.
나이 들면서, 왜 인체에는 냄새가 나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한때 저도 이부분이 궁금했습니다. 특별히 씻지 않는 것은 아닌데 나이가 들수록 특유의 냄새가 나는것은 사실 어쩔 수 없습니다.나이가 들면서 피부의 성분이 변하고 피부의 황산화 기능이란 노화를 막아주는 기능이 부족해지다보니 피부속의 지방이 산화되어 노넨알데하이드 라는 물질이 생성됩니다.이물질이 모공이 많은 부위에서 자주 생성되는데 특유의 기름진 냄새가 나게 됩니다. 또한 이물질은 제거가 어려우며 또한 신진대사가 느려지다보니 노폐물 배출이 잘 되지 않아 냄새가 더 날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6일 전 작성 됨
Q.
요즘은 특히 광물중에 텅스텐이 각광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텅스텐은 주로 어떤곳에 쓰이는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텅스텐은 요즘 군사용 목적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전쟁중이라 워낙 밀도가 높고 단단하기 때문에 포탄의 주요 부품으로 사용됩니다.또한 강도가 워낙 강하기에 절삭 공구로도 인기가 높으며 한때 많이 사용했던 전구의 필라멘트로도 사용되었습니다. 높은 내열성 덕분에 항공우주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6일 전 작성 됨
Q.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이려면 어떤 정수기가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지 않기 위해 플라스틱 생수병보다는 정수기로 마시는게 섭취량을 줄일 수 있긴합니다. 하지만 생선이나 어패류를 통해서 섭취 할 수도 있고 동식물을 체내에도 미세플라스틱이 있습니다.일단 정수기만 초점을 맞춰보면 크게 역삼투압 방식, 나노 필터방식, 중곡사막 필터 방식이 있습니다.미세플라스틱을 크기로 구분하는데 미세플라스틱은 5mm 이하 초미세플라스틱은 1마이크로미터 이하 보다 작은 플라스틱을 말합니다.3가지의 필터 전부 미세플라스틱은 제거해줍니다.하지만 중공사막 방식은 0.1 마이크로까지 제거가 가능해 0.1 마이크로보다 작은 초미세플라스틱은 제거가 되지 않습니다. 중공사막 방식을 제외한 두가지 정수기 중에 어떤걸 사용하셔도 초미세플라스틱은 제거가 가능하며 가장 작은 크기의 입자까지 제거하는 정수기는 역삼투압 방식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7일 전 작성 됨
Q.
다양성자산은 어떤 식으로 분해반응을 일으키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학생때 배웠던 기억을 더듬고 자료도 확인을 좀 해봤습니다.polyprotic acid 라고 기억하고 있는데 번역하면 다양성자 산으로 되는지 처음알았습니다.이염기, 삼염기산으로 황산이나 구연산이 대표적입니다. 수소이온을 순차적으로 방출합니다. 황산을 예로 들면 H2SO4 -> H+ + HSO4-HSO4--> H+ + SO4 2-로 순차적으로 가장 바깥에 있는 수소이온이 먼저 떨어져 나가게 됩니다.순차적으로 일어나는 이유는 분자 구조상 단계적으로 해리되는게 안정적이기도 하고 첫번째 양성자가 해리 후 두번째 부터는 내부에 극성이 발생하여 수소이온을 해리시키는데 더 큰 에너지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7일 전 작성 됨
Q.
가용성 염의 경우에는 평형상수 값을 두 이온 농도의 곱으로 구할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오랜만에 책과 자료들을 찾아보았습니다. 가용성 염이라고 해도 종류가 다양하고 혼합물 상태라 녹더라도 완전 용해가 되지 않고 불포화 상태로 유지되는 염을 가용성염으로 정의하기 때문입니다.불포화상태이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용액을 넣어 농도가 높아지면 계속해서 녹을 수 있기 때문에 평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온농도의 곱으로 정의되는 평형상수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7일 전 작성 됨
Q.
전기음성도 차이가 큰 공유 결합이 반드시 이온 결합으로 간주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한때 저도 이분이 궁금해서 당시 선생님께 질문을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이온결합과 공유결합에 대해서는 잘 아실거라 생각됩니다. 공유결합중에서도 수소결합과 같은 전기음성도 차이가 큰 공유결합이 존재합니다. 사실 이것에 대한 구분은 정확하진 않지만 폴링의 척도로 구분을 합니다.전기음성도를 0.4 / 1.7 로 나뉘어 0.4 미만이면 공유결합(무극성) 0.4~1.7 사이에 있으면 공유결합(극성), 1.7 초과하면 이온결합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하지만 전기음성도가 1.7 을 초과하는 공유결합이 HF 같은 경우는 발생하는데 그래도 분자상태이기 때문에 극성 공유겳합으로 분류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7일 전 작성 됨
Q.
중화 적정 곡선에서 왜 당량점 부분에서 pH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당량점은 산염기 반응이 거의 끝난 시점이라 중화에 따른 물이 거의다 만들어진 시점이라 ph 가 중성인 상태입니다. 그 상태에서 미량의 적정용액이라도, 적정용액의 ph 에 따라 급격히 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