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5년 1월 18일 작성 됨
Q.
빨간색을 볼수 있는 동물이 인간이외 또 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다른 영장류들도 붉은색을 볼수있고, 조류나 파충류, 일부물고기 등등 빨간색을 인지할 수 있는동물들이 많이 존재합니다.이들은 해당 환경에서 붉은색을 구분하고 알아차리는것이 생존에 도움이 되었을것입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18일 작성 됨
Q.
호주쪽은 언제부터 인류가 정착을 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현대인류는 약 6500년전또는 5만년전에 호주에 도달해서 정착하기 시작했다고합니다.인도네시아 섬들을 거쳐서 배를이용해 바다를 계속해서 건넌것으로 추정된다고하고,다른인류와 마찬가지로 사냥과 채집을해가며 살아왔다고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18일 작성 됨
Q.
사우나는 높은 온도를 왜사람이 버틸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우선 짧은시간에 노출되기때문에 체온이 치명적으로 오르지는 않습니다.또한 건식사우나의 경우 땀이 증발하면서 체온을 낮춰주는역할을 하기때문에체온이 빠르게 올라가지 않습니다.마지막으로 공기는 생각보다 단열효과가 큰 물질이기때문에온도계가 꽂혀있는 열원주변의 온도와 공기의 온도의 차이가 있을수있고실제로는 70도나 80도의 공기가 아닐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18일 작성 됨
Q.
아프리카 내부와 외부의 인종들의 유전적 다양성이 왜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현대인류는 20만년전에 아프리카에서부터 진화해왔다고합니다.이곳에서 약 7만년전부터 아프리카를 벗어나기 시작하고 전세계로 퍼지면서유전적인 변화가 발생했습니다.이동한곳에서 정착하여 살면서 환경에적응하기위한 유전적 변화입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17일 작성 됨
Q.
난자나 정자를 얼리는건 왜 얼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인간이 노화함에따라 난자나 정자의 퀄리티가 떨어질 수 있고,이는 곧 정상출산의 성공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그래서 노화되기이전에 이러한 난자나 정자들을 얼려놓고추후에 시험관을통한 임신을 노려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것입니다.일반적으로 영구보관은 가능하지만보관기관이 길어질수록 배아가될 성공률이 떨어질 수는 있다고합니다.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