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투명한 곤충과 투명한 어류는 보았습니다만 투명한 동물도 존재가 할까요?
투명한 색은 포식자로부터 숨어서 자신의 목숨을 지키거나 다른 사냥감으로부터 숨어서 사냥을 편하게하기위한 좋은 수단입니다.그래서 주로 태양빛이 잘 굴절되지않고 통과가잘되며 어두운색이 배경색이되는 물속생명체들에게서 이와같은 모습들을 자주 관측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투명 물고기들뿐아니라 투명 오징어, 문어, 해파리등도 존재하고 심해지렁이, 달팽이와같은 생물체들도 존재합니다.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유인원과 영장류는 어떻게 다른건가요?
유인원의 뜻은 사람을 닮은 원숭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영장류들 중에서 가장 영리하고 진화가 잘 되어있는것으로 평가되고 영장류에 속하는 단어이기도 합니다.영장류는 포유류들 중 가장 지능이 발달되어있는 형태의 생물이고 얼굴이 짧고 지능이 높은 특징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정리하면 영장류는 포유류들 중 영리한 집단을 말하고, 유인원은 이러한 영장류들 중에서도 더 영리한 집단인 사람과 비슷한 무리들을 말합니다.차이가 있다면 일반 영장류들은 다른 포유들보다는 영리하겠지만, 유인원들과 비교해서는 도구사용이나 의사소통, 상황판단 등등에 대해서 월등한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2024년 5월 27일 작성 됨
Q.
벌매같은 경우는 벌에 독에 대한 내성이 있는건가요?
벌매는 기본적으로 단단한 비늘과같은 질감의 깃털이 온몸을 빽빽하게 감싸고있어 벌의 독침이 파고들 틈조차 있지않습니다.그래서 공격자체를 잘 허용하지않고 그나마 공격을 받을 수 있는 콧구멍 안쪽같은경우도 매우좁게 진화하여 잘 공격받을 수 없는 구조이기도 합니다.이러한 한계를 모두 극복하고 공격을 받는다고해도 벌매는 독침에대한 내성을 갖고있어 결국 어떠한 공격에도 끄떡없다고합니다.이러한 벌매는 매우 영리하기까지해서 동물의 사체를 미끼로 내걸고 말벌의 뒤를 미행하여 벌집을 터는 능력을 보여주기까지 하고, 여왕벌과 애벌레까지 모두 말살하여 군체를 멸족시킬 수 있는 말벌 입장에서는 엄청난 공포의 존재라고도 할 수 있다고도 합니다.결론적으로는 온갖 말벌의 공격이 통하지않는 무적의 포식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토끼는 당근을 먹는게 맞나요????
당근은 말그대로 당이 많이 함유되어있어 토끼에게 좋은 음식은 아니라고 하긴합니다.가끔 특별한날에 주는 간식정도로 주는것이 좋고 너무많이주게되면 비만이나 소화기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고합니다.그래서 토끼에게 주는 식단으로 80~90퍼센트는 좋은 품질의 건초나 풀로 채워주는것이 좋고, 이렇게되어야 토끼 치아가 정확히 길이가 유지되고 소화기 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고합니다.특히 당근은 토끼의 주식이 될 수 없을뿐더러 자르거나 껍질을 벗겨난당근보다도 껍질과 줄기를 그대로 유지한채 주는것이 더 좋다고합니다.결론적으로는 건초나 풀이 주식이되어야하고 나머지 채소나 과일은 15퍼센트미만이 되도록 식단을 구성해주어야합니다.
2024년 5월 26일 작성 됨
Q.
암컷매미가 울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암컷매미는 수컷매미와는다르게 울음판이라고하는 근육을 움직여 소리를 내는 기관을 따로 가지고있지않아서 소리를 내지 못합니다.그래서 수컷처럼 큰 소리로 울지못하고 오로지 수컷만이 울면서 암컷을 찾아나서게됩니다.암컷매미가 울음판이 발달하지 못한이유로는 나무에 구멍을 뚫고 산란을 하여야 하기때문에 배 부분이 이러한 발성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발달한것이 아니라 산란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발달하였기 때문입니다.
381
382
383
384
3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