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인간외에 두발로 확실한 직립보행을 하는 종이 등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인간은 현재 유일한 완전직립보행 동불입니다.일시적으로 이족보행이 가능한 유인원들이나 캥거루가 있기는 합니다.만약 환경과 진화적인 요구가 맞아떨어진다면, 미래에는직립보행하는 새로운 종이 나타날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합니다.하지만 인간수준까지 직립보행할 확률은 낮다고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초콜릿을 많이 먹지 않아도 혈액은 원래..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혈액원 물모다 약 3~4배정도의 끈적한 성질을 가지고있습니다.혈액 내 적혈구, 단백질, 지방 등의 성분들이 포함되어있기 떄문입니다.혈당이 아니더라도 혈액자체의 점성이 있긴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동물 장기로 인간에게 이식을 하는 경우 거부 반응이 어느정도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이종이식이라고 불리는 동물 장기 이식수술은 강한 면역거부반응이 발생합니다.유전자조작기술을 이용하면 인간 면역계에 적합한 동물장기를 만들수있는데,특정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인간의 장기로 인식할수있도록 하는지표들을 발현하도록 만듭니다.최근 이러한 돼지 심장이나 신장 이식을통해 수 주에서 수개월간 생존한 사례가 있긴 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상어가 민물에서 살 수 있다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상어는 바닷물에 살지만 일부 황소상어같은 종들은 담수에서도 샌존가능합니다.상어들은 신장에서 삼투압 조절능력이 뛰어난 편이고 특히 황소상어는 더 뛰어나서민물과 바닷물을 오가기도합니다.아마존강이나 갠지스 강에서 발견된 사례가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소시오패스는 후전적으로 나타나는 정신적질환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소시오패스는 주로 환경적인요인으로인해 후천적으로 만들어집니다.주로 가정폭력이나 트라우마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사이코패스는 유전적, 뇌 구조적 차이로인해 선천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많습니다.둘다 반 사회적 인격장애의 유형 중 하나입니다.
생물·생명
2025년 2월 14일 작성 됨
Q.
단백질 접힘 오류가 질병을 유발하는 사례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단백질 접힘오류로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병의 사례는 바로 신경퇴행성 질병입니다. 주로 알츠하이머나 파킨슨병이 이러한모습을 보입니다.
생물·생명
2025년 2월 13일 작성 됨
Q.
상어처럼 치아를 계속 만들 수 있는 동물이 또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상어뿐아니라 가오리나 홍어와같은 어류들도 이빨이 계속해서 자랍니다.그리고 쥐나 비버, 토끼도 앞니가 평생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5년 2월 13일 작성 됨
Q.
벌레들도 꽃에서 나는 향기를 맡을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벌레들도 꽃의 향기를 맡을수있고, 주로 더듬이나 감각기관등을 이용해서향기분자들을 감지합니다.꽃들은 이러한 벌레들의 특징을 이용하기위해 각양각색의 꽃 냄새를 만들어내고수분을 돕도록 유인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2월 13일 작성 됨
Q.
DNA 구조를 처음 발견한 사람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DNA의 이중 나선 구조는 왓슨과 크릭이라는 사람이 1953에 발견했습니다.X선 회절데이터를 참고하여 DNA의 구조를 밝혔다고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2월 13일 작성 됨
Q.
생물의 분류 단계에서 가장 큰 단위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생물의 분류체계는 공통된 특징으로 분류합니다.가장 큰 단위는 역이고, 그다음 계, 문, 강,목,과,속,종 순서로 세분화됩니다.예를들어 인간을 분류하면역: 진핵생물계: 동물계문: 척삭동물문강: 포유강목: 영장목과: 사람과속: 사람속종: 호모사피엔스이런식으로 나열됩니다.
46
47
48
49
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