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앞으로 인류는 얼마나 더 번성 가능 하리라 생각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인류는 앞으로도 기술발전이나 적응력을 토대로 수백년에서 수천년이상 계속 번성할 수 있을것이라고합니다.다만 최근에는 기후변화나 전염병, AI와같은 공학적인 위험도 있긴합니다.하지만 모조리 멸종하는 단계는 잘 오지않을것이로 평가됩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살아있는 화석 투구게 에서 파란피를 뽑아내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투구게의 파란피 안에는 LAL이라는 성분이 있어서 백신이나 의약품에서 독소 검출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고합니다.보통 피를 채취하고 다시 바다로 돌려보내지만 일부 개체들은 생존하지못하고 죽습니다.이로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있기도합니다.최근에는 합성대체물을 개발하고있긴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벌집군단에서 여왕벌이 없다면, 어떤 현상들이 벌어지는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여왕벌이 없으면 명령체계가 없어지고 군집 내 질서가 무너진다고 합니다.새 여왕벌을 추대하거나 여왕벌이 새로 생기는것을 실패하면 산란벌이 따로 알을낳습니다.계속해서 여왕이 없는상태라면 군집이 점점 와해되다가 사라집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문어는 왜 심장이 세 개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문어는 아가미에서 가스교환이 일어나도록 아가미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아가미심장 2개가 있습니다.또한 나머지 하나는 온몸에 혈액을 순환시켜주는 체심장이 하나 있습니다.이론적으로는 아가미심장이 멈추면 생존이 어렵지만, 나머지 하나만으로도 일시적으로 생존이 가능하다고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늑대는 왜 밤에 하늘을 보며 울부짖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늑대는 소리가 잘퍼지는 어두운밤에 울부짖어 소통을합니다.매체에서는 어두운 밤에 우는것이 강조되고 멋잇게보이도록 연출하지만,사실 낮에도 울부짖으며 서로 소통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새들은 어떻게 한쪽 다리로 서서 잘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한쪽다리를 무게중심 가운데에 두고 균형을 잡은채 버팁니다.시간이지나면 다리를 교체하여 다른쪽 다리는 쉬도록 합니다.이런식으로 계속서있으면 에너지 절약효과가 있고 피로 감소효과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현생 인류에도 네안데르타인의 유전자가 있는 사람도 있다고 하던데 이런 부류의 사람들은 근육이 더 많이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현생인류 유전자의 1%정도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포함되어있다고합니다.네안데르탈인은 추운지역에서 살았기때문에지방축적에대한 유전자가 발달시켰기때문에 상대적으로 근육은 더 적게 생길 수 있다는가설이 존재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주사마다 왜 아픈 것도 있고 안 아픈 것도 있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주사의 통증은 바늘의 굵기나 주사액의 점도나 산성도, 주사부위의 신경 밀집도 등등에 따라서 달라집니다.바늘을 가늘게하면 덜아프지만 약물이 점도가 높은경우 주사가 제대로 되지않는경우가 있습니다.그리고 약물의 점성이 높거나 산성이 강하면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동물의 IQ는 어떻게 측정을 하는가??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예를들어 미로를 탈출하는 문제해결능력이나사물이나 사람을 기억하는 기억력,도구의 활용 정도, 사회적인 행동패턴 등을평가해서 IQ를 측정합니다.
생물·생명
2025년 1월 31일 작성 됨
Q.
밥을 많이 먹으면 바로 살이 찌는 사람은 영양소 흡수를 잘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단순하게 영양소 흡수를 잘하는것일 수 있습니다.이외에도 흡수한 뒤 에너지 대사를하는 능력이나지방축적 정도에서 차이가 날 수 있기도 합니다.
51
52
53
54
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