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Q.  사람의 성격은 유전과 환경 중 무엇이 더 큰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먼저 유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의해서 성격이 형성되긴합니다.쌍둥이연구에따르면 성격은 약 40~60%가 유전으로부터 영향을받습니다.이후 가정환경과 교육, 문화, 사회적경험 등이 성격발달에 중요한 영향을미친가도합니다.이러한 성격의 발달시기는 어린시절의 경험이 성격형성에 큰 영향을 주고,성인이 되어서는 크게 변화하지는 ㅇ낳습니다.결론적으로 처음 어린시절에는 유전이 기본적으로 성향을 결정하지만이후 환경적요인에따라 성격이 크게 변화할 수 있는것입니다.
Q.  바다거북이 등에는 왜이리 따깨비들이 들러붙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따개비는 유생상태로 바닷물속을 돌아다니다가단단한 표면을만나면 뿌리를내리고 붙어서 사는부착생물입니다.바다거북의 등껍질은 넓고 단단해서 따개비가 붙기 적합하고천천히움직이거나 해변에서 휴식하는경우가 많아서따개비가 비교적 달라붙기가 쉬운편입니다.이런따개비가 거북이에 많이 달라붙게되면유영속도를 떨어뜨려 사냥이나 포식자로부터도망가는활동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그래서 일부 거북이들은 스스로 몸을 암초등에 문지르거나깨끗한물에 머무르면서 따개비 숫자를 줄이기도합니다.
Q.  호랑이 사냥에 CK 향수를 썼다는 말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실제로 2018년에 인도에서 13명을 공격한 호랑이를포획하는데 CK향수를 사용했는데,이 향수안에는 시벳톤이라는 성분이 포함되어있습니다.이 시벳톤은 사향고양이 분비물에서 유래한 물질인데동물들에게 강한 반응을 유발하고특히 고양이과인 퓨마나 재규어같은 동물들이이 냄새에 잘 이끌린다고합니다.그래서 호랑이도 시벳톤 냄새에 관심을 보이고오래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고합니다.이러한 특성을 이용해서 해당 호랑이를특정위치로 유인한뒤에 포획에 성공했다고합니다.
Q.  참다랑어, 우리가 아는 참치는 평생 쉬지 않고 헤엄치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우선 참다랑어는 평생 쉬지않고 헤엄쳐야하는데강제호흡방식이라는 호흡법때문입니다.참치는 아가미를 통해 산소를 흡수하는 아가미호흡을하는데,물이 계속흐르지 않으면 이 아가미속으로 산소가 들어오지못합니다.그래서 멈춰있으면 질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돌고래를 포함한 고래류들은 포유류이기때문에 허파로숨을쉬지만참치는 아가미호흡을아기때문에 호흡방식자체가 전혀다릅니다.대신 참치는 수면과 비슷하게 저활동상태로 에너지를 절약하며활동할 수 있는데, 헤엄을 느리게치거나해류를이용해서 힘을 최소화하며 호흡을 지속하기도합니다.몇몇상어들은 이런 참치처럼 강제호흡방식을 가지고있어서계속헤엄쳐야합니다.
Q.  동물들도 사람처럼 몸에 기름(피지)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동물들도 몸에 지방이있고 기름을 생산해냅니다.소나 돼지, 닭, 오리 등등 다양한 동물들의 몸에서는 기름이 나오는데,모두 기름샘을 가지고있기 때문입니다.스핑크스고양이도 여기에 해당합니다.보통 동물이나 사람모두 피지샘으로부터 나오는 기름이피부가 건조해지는것을 막아주는 역할을합니다.새들은 주로 깃털에 방수역할을 부여하기위해서기름을 분비하기도합니다.이러한 기름의 역할은 동물들마다 차이가 있기는합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