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 상에 바다가 형성된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의 구성 물질은 대략적으로 수소가 74%, 헬륨이 25% 그리고 탄소와 산소 등의 기타 원소가 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교적 온도가 낮은 우주 공간에서 가장 만들어지기 쉬운 화합물은 H2O 즉 물 분자이고, 이들은 더러운 얼음 덩어리처럼 우주 먼지에 코팅디어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태양계가 형성될 때, 이들 덩어리들이 성장하여 미행성을 만들고 미행성이 충돌합체하여 행성을 형성합니다. 그 결과 행성을 형성하는 물질에는 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었지만, 각각의 행성에서 바다의 존재 유무는 행성의 크기(질량)와 태양(중심별)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원시행성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크기가 너무 작으면 중력이 작아 대기를 붙잡아 둘 수 없어 수성이나 달처럼 되고, 너무 크면 물 분자 뿐만 아니라 수소와 헬륨까지 붙잡아 목성형 행성이 되어버립니다. 또한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금성처럼 H2O가 모두 증발되고 자외선에 의해 깨져버려 물이 없는 행성이 되어버리고, 너무 멀면 온도가 낮아져 화성이나 칼리스토처럼 얼음 천체로 되어버립니다.따라서 지구에 바다가 존재하는 이유는 원시 지구가 적당한 곳에서 적당한 크기로 태어났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중국의 쓰촨지역에서 대지진이 많은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쓰촨성 인근 티베트 지역에서 인도판과 유라시아 판의 경계가 위치해 있다고 합니다. 티베트 고원 지대의 지각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강력한 지진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질시대의 이름은 어떻게 정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질시대의 이름은 지질학자들이 지층을 연구하던 중 그 지층을 기준으로 시간의 단위도 나누었다고 합니다. 지질학이 발전하면서 더욱 세분화되고 수정되기는 했습니다. 각 나라의 지층은 대체로 영국 학자들이 많이 정해서 우리가 듣기에는 생소한 이름들이 많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 탐사의 최신 기술과 주요 연구 성과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 탐사는 여러방면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조금 지났지만 최근 제임스웹 망원경이 중요한 성과이고, 중국의 달 뒷면착륙, 화성 탐사계획, 스페이스 X의 발사체 재사용 및 NASA와 민간기업의 협업 등등이 생각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오로라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오로라는 태양풍과 지구의 자기장이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지구의 자기장이 강한 곳에서 그런 상호작용이 더 잘 일어나게 되고, 지구의 양 극지방이 자기장이 더 강하기 때문에 극지방과 가까운 지역에서 오로라가 잘 관찰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도시 열섬 현상의 원인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도시는 인구가 밀집되어 있고, 숲이 적으며 콘크리트 건물등도 쉽게 온도가 올라가는 등의 복합적인 영향일 것 같습니다.결국, 여러 복합적인 시설들이 좁은 공간에 모여있으면서 생기는 현상이라고 봐야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오로라가 생기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오로라는 태양풍이 지구의 자기장과 만나면서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고 합니다. 지구의 극지방에서 자기장이 강하기 때문에 극지방에서 주로 오로라가 관찰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갯벌이 사라지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갯벌이 사라진다고 바로 당장 큰 문제가 되지는 않겠지만, 장기적으로 큰 손해라고 생각됩니다. 해양 퇴적물의 함몰과 유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해양 환경을 보호하고 해안 침식을 예방하는 데 기여합니다. 갯벌은 식물의 생육에 중요한 영양분을 제공하고, 산소를 생산하며, 동물들의 서식지로서 많은 종들이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합니다.생태계에 큰 혼란이 올 수 있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블랙홀의 반대 화이트홀의 존재유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블랙홀은 실제로 관측되고 존재하지만, 화이트홀은 그냥 상상의 개념으로 블랙홀의 반대도 있지 않을까? 하는 정도의 상상하는 정도의 개념인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불의 고리인 환태평양조산대에서는 왜 화산활동이 많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태평양 주변의 불의 고리 지역, 즉 환태평양 지역은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히 일어나는 지역으로 유명하지요. 이 곳에서의 지진과 화산 활동은 대부분 태평양판과 주변 판과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판구조론에 따르면 지구의 내부가 식어가는 과정에서 맨틀 대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지각은 십여 조각의 판으로 나누어져 맨틀 위에서 떠다니게 됩니다.판과 판의 경계는 발산 경계, 수렴 경계, 변환단층 경계가 있습니다. 발산 경계는 맨틀 대류의 상승부, 수렴 경계는 맨틀 대류의 하강부, 변환단층 경계는 두 판이 미끄러지는 지역에 해당합니다. 둥근 지구 표면에서 어느 판이 이동하거나 확장되면 필연적으로 주변 판과 충돌하고 그 과정에서 지진과 화산이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대륙판과 해양판이 충돌하면 밀도가 높은 해양판이 대륙판 밑으로 섭입, 즉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마찰열이 발생하고 응력이 축적되어 화산과 지진이 발생하게 됩니다. 태평양판은 매우 크고 활동적이라 빠른 속도로 확장하면서 태평양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 판과 충돌하면서 즉 수렴경계를 이루면서 지진과 화산 현상을 일으킵니다. 이에 비하여 대서양을 열고 있는 대서양 해령은 발산 경계에 해당하고, 이의 연장선 상에 있는 아이슬랜드는 양쪽으로 쪼개지면서 용암이 흘러나오고 이로 인한 화산이 수시로 발생합니다. 어찌 보면 지구 표면은 물 위에 떠다니는 다수의 얼음 배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판구조론을 참고하기 바랍니다.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1234&docId=5145557&categoryId=61234
1061071081091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