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1일 작성 됨
Q.
화산이 폭발하고나면 오히려 지구의 온도가 내려간다고 하던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화산폭발로 인해 화산재가 많이 발생하고 햇빛을 가리게 되면 지구의 온도가 내려갈 수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1일 작성 됨
Q.
지구에서 달까지는 얼마나 멀리 떨여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와 달의 거리는 38만 5000km 라고 합니다. 1년에 3.8cm 정도 멀어진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1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 독거노인입니다. 현재 새벽 3시인데 계속해서 돌풍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이 돌풍이 부는 방법 그리고 원인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바람은 공기의 흐름입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지만, 여름철에 강한 바람은 여러 특성을 가진 기단들이 만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1일 작성 됨
Q.
빅뱅 이전에는 무엇이 있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과학이 알아낼 수 있는 부분은 빅뱅까지 이고,, 그 이전에 대한 과학적인 단서는 전혀 없는 상태라고 봐야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0일 작성 됨
Q.
동굴은 왜 시원하죠?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기본적으로 햇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시원한 영향이 가장 클 것 같습니다. 결국 온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햇빛이고, 에너지 공급이 없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질 거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0일 작성 됨
Q.
구름은 어떤 원리로 생겨나나요? 구름은 수증기가 뭉쳐서 보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구름은 말 그대로 수증기들이 증발되어 높은 고도에서 응결되어 떠 있는 상태입니다. 수증이의 양이 많아지고 구름이 크고 두꺼워지면 햇빛을 가리면서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0일 작성 됨
Q.
지구는 결국 멸망할 수 밖에 없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무난하게 진행되면 지구가 망할 확률은 거의 100% 가까워 보이기는 합니다. 엄청난 과학발전으로 모든 것을 해결할 엄청난 혁신이 있거나, 큰 재앙으로 인구가 매우 줄어들게 되는 방법이 유일한 해결방법일 거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0일 작성 됨
Q.
바다가 만드는 여러가지 지형에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바다의 영향으로 해안선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만이나 곶, 암석해안, 모래해안, 갯벌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0일 작성 됨
Q.
사람이 죽으면 흙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당연히 성분히 같지는 않겠지만,, 결국은 대부분의 유기물들이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는 것처럼 일정 시간이 지나면 흙과 큰 차이가 나지는 않게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0일 작성 됨
Q.
태풍 개미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정확한 예측은 어렵고 사실 기상청의 발표를 통해서 추정하는 정도가 되겠습니다. 22일을 거쳐서 23일 정도에 가장 강한 영향을 줄거라고 생각되며, 직접 영향보다는 간접영향을 줄 것 같다고 합니다.
116
117
118
119
1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