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4일 작성 됨
Q.
흰구름과 먹구름이 동시에 보이는 현상은 왜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구름이 더 두껍고 수분의 양이 많아지면 햇빛을 가리면서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상황에 따라서는 흰구름과 먹구름 동시에 보이는 것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4일 작성 됨
Q.
화성 이외에 탐사 가능성이 있는 행성이 더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사람이 가기는 어렵지만, 탐사선을 통한 탐사는 목성이나 금성등도 탐사가 가능합니다.다만,, 사람이 직접 가서 탐사한다는 것은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4일 작성 됨
Q.
열대야의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어떻게 정해진건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열대야는 말 그대로 밤에 더운 상태를 이야기합니다. 일반적으로 밤의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이면 열대야의 기준이 된다고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4일 작성 됨
Q.
습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곳으로 바람이 부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바람은 습도가 아니라 기압차이에 의해 이동합니다. 기압이 높은곳에선 낮은곳으로 바람이 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4일 작성 됨
Q.
지구가 평평해지면 어떻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가 평평해진다는 것은 모든 법칙을 다시 써야 되는거니까, 사실 상상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중력에 의해 우주의 모든 천체들은 '구' 형태이기 때문에,, 지구가 평평하다는 것은 물리법칙이 모두 바뀌지 않는한 어려울 거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4일 작성 됨
Q.
나라별 인공위성이 엄청 많을텐데, 어떻게 부딪치지 않고 계속 돌고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지구가 워낙 크기 때문에 사실 그동안 큰 문제는 없었을 거 같네요. 다만 최근에 인공위성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서 여러 어려움이 있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10년 후에 지구의 모습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가장 예측되는 것은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고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많은 땅이 물에 잠기고, 여러 환경파괴가 악화될 것으로 예측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천둥을 치는 것과 소리가 발생하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구름에서 여러 원인에 의해서 양전하와 음전하가 축적되면서 전하차이에 의해서 번개와 천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나는 소리를 천둥이라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망원경으로 우주 밖을 볼 수 있는건 도대체 어떻게 볼 수 가 있는건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맨눈으로 어마어마한 거리에 있는 별들이 잘 보이는 것처럼, 망원경은 좀 더 크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도와주는 역할이겠습니다.가리는 장애물이 없다면 먼 거리에 있는 빛도 잘 볼수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에너지들도 중력을 가지고있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사실 질량과 에너지는 같은 개념이라고 봐야겠습니다. 따라서 에너지도 당연히 질량을 가지고 있다고 봐야겠습니다.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