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칠영 전문가입니다.

김칠영 전문가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은하 전체는 움직이지 않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 전체가 엄청난 속도로 확장되고 있으며, 당연히 우주 전체적으로 보면 고정되어 있는 것은 전혀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 은하 전체도 이동을 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외계생명체는 정말로 존재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우주가 워낙 넓기 때문에 어딘가에는 다른 생명체가 있겠지? 라는게 일반적인 생각인 것 같습니다.아직까지 다른 생명체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고, 우주가 워낙 넓어서 쉽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세계 5대 갯벌은 어디어디에 위치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전 세계적으로 유럽의 북해 갯벌, 아마존 하구 갯벌, 미국 동부 해안 갯벌, 캐나다 동부 해안 갯벌그리고 한국의 서해안 갯벌이 대표적이라는 내용이 있는데,, 사실 3대, 5대 이런것들은 공식적으로 정해지는 건 아닌거 같습니다.유명한 갯벌들이 저 정도 있구나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금은 왜 살아있는 공룡을 볼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공룡을 볼 수 없는 이유는 공룡이 어떤 이유로 멸종 되었기 때문입니다. 화산폭발, 운석충돌등에 의한 빙하기로 몸집이 거대한 공룡이 멸종되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먹구름과흰구름에대해서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먹구름과 흰구름의 차이는 얼마나 두껍고 수증기의 양이 많아서 햇빛을 많이 가리는 지로 결정된다고 합니다. 즉, 두껍고 수증기를 많이 함유한 구름은 태양을 많이 가려서 어두워 보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 서쪽은 왜 갯벌이 발달하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겠지만, 수심이 얕고 완만한 형태이기 때문에 갯벌이 잘 발달하게 될 것 같습니다. 특히 황하를 통해 공급되는 많은 양의 퇴적물들이 쌓이면서 갯벌이 잘 만들어지는 요인이 될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비가 왔다가 해가 떴다가 왔다갔다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대기가 불안정한 경우 상승기류에 의해 두꺼운 구름이 만들어지면서 갑작스럽게 비가 오고 금방 그치는 형태의 비가 올 수 있다고 합니다. 대기가 불안정하고 상승기류가 형성되는 것과 연관이 있을 것 같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쌍무지개는 어떤경우에 뜨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무지개는 공기중에 물방을이 많이 있을때 태양 빛이 물방울에 의해 굴절되면서 생기게 됩니다. 쌍무지개 역시 같은 원리이긴 한데, 더 많이 반사과정을 한번 더 겪으면서 쌍무지개가 생기게 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금까지 인류가 탐사한 행성중에서 지구보다 중력이 강한 행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태양계에서만 하여도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과 같이 가스로 이루어진 목성형 행성은 지구보다 훨씬 중력이 강합니다. 최근 관측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태양계 밖에서 수없이 많이 발견되는 외계 행성들은 대부분이 목성형 행성이고, 이들은 지구보다 질량도 크고 중력도 강합니다. 주로 중력이 큰 목성형 행성들이 발견되는 것은 중력이 큰 행성들일수록 중심 별에 주는 영향이 커서 관측되기가 쉽기 때문입니다.행성의 표면 중력은 행성의 질량과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는 중심 별로부터의 거리와 함께 그 행성에 있어서 바다의 존재 여부를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입니다. 중력이 너무 작으면 달이나 수성처럼 대기가 모두 달아나 버려 바다가 존재할 수 없고, 너무 크면 물분자뿐만 아니라 수소와 헬륨까지 끌어모아 목성과 같은 거대한 기체 행성이 되어버려 물로 이루어진 바다가 존재할 수 없습니다. 생명이 존재하기 위한 절대적인 조건은 바다인데, 바다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또 하나의 조건 즉 행성의 표면 온도가 적당해야 합니다. 온도가 너무 높으면 물이 완전히 증발되어 금성처럼 열지옥이 되고, 너무 낮으면 화성처럼 춥고 건조한 사막이 됩니다. 지구의 경우는 태양으로부터 적절히 떨어진 곳에서 적절한 크기로 태어났기 때문에 바다가 생겨나고, 그 결과 생명체까지 태어날 수 있었던 것입니다.태양계 밖의 지구형 행성이 발견될 확률은 아주 낮아 지금까지 발견된 지구형 행성은 극소수이고 아직까지 바다가 확인된 행성은 없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좀 더 관측 기술이 좋아지면 지구와 비슷한 조건을 갖춘 외계 행성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얼마 전에 제임스 웹 망원경으로 외계 행성의 대기를 분광 관측하여 수증기의 존재를 확인하기도 하였는데, 만약 산소 분자를 확인한다면 궁극적으로 외계 생명체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 은하계에만 해도 2000억 개 이상의 항성 즉 외계 태양이 존재하기 때문에 좋은 조건을 갖춘 행성도 얼마든지 있을 수 있습니다. 언젠가는 외계 생명체의 확인도 이루어질 터이고, 먼먼 미래에는 외계인과의 조우도 가능하리라 기대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과거에 사용했던 태풍이름을 다시 사용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태풍이름은 140개로 정해져있고, 이 140개를 계속 반복적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즉, 과거에 사용했던 태풍이름을 다시 사용하는게 일반적인게 맞습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