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구름과흰구름에대해서알고싶어요
장마철(계절우기)에 하늘을 바라보면 흰구름과먹구름이 보여지는데 그런 현상은 어떤이유로 발생되는지 그것이 알고싶어요 과학적근거?자연적현상?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먹구름과 흰구름의 차이는 얼마나 두껍고 수증기의 양이 많아서 햇빛을 많이 가리는 지로 결정된다고 합니다. 즉, 두껍고 수증기를 많이 함유한 구름은 태양을 많이 가려서 어두워 보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구름의 형성과정을 먼저 알아야 할것같습니다! 구름은 지표면의 가열등에 의해서 저기압지역이 형성되면서 공기의 상승을 야기시키게 되는데 보통은 태양열에 의해 가열이 발생하게되면서 지표면의 공기가 상승하는데 이때 같이 수증기도 상승하게 되는것이죠~ 상승한 공기는 기압이 낮아지면서 팽창을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온도를 낮추게 됩니다. 온도가 낮아지며 이슬점에 도달하게 되면 공기중의 수증기가 응결하게 되어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을 형성하고 구름을 만들어내게 되는것이지요~ 흰구름은 주로 얇고 넓게 퍼진 층운형구름으로서 작은 물방울이 빛을 산란하면서 우리의 눈에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것이며 보통 얇은 두꼐를 가지고 있어 햇빛이 구름을 통과하게 되는것입니다! 먹구름은 두꺼운 적운형구름으로서 비나 폭풍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큰물방울이나 얼음 입자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빛을 더 많이 흡수하고 산란시켜 구름이 어둡고 회색에서 검은색으로 보이게 되며 두꺼운 두께의 구름이 대다수를 이루어 햇빛이 통과되지 못하게 됩니다! 장마철에는 대기중의 수증기가 많아 기온과 기압의 변화도 크며 다양한 구름을 형성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