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그리운독수리38
그리운독수리3821.05.02

흰 구름 하구 먹구름 차이점이 무엇 인가요?

날씨 흐린날 보면 구름이 먹구름인데 보통 맑은날 보이는 하얀 구름 하구 어딴 차이가 있나요?

그리구 먹구름은 왜 생기는건가요

특히 태풍전 후에 나타나 던데 먹구름이 생기는 현상이 태양 빛이 투과가 되지 않아 생기는 현상이 맞나요

알려 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구름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알갱이가 하늘에 떠있는 상태입니다. 수증기 같은 것이지요

    물방울이 작을 시에는 빛을 흩어지게 만들고 골고루 반사되면서 흰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근데 물방울 커지면 빛을 흡수하여 구름이 점점 어두워지는 것이지요.

    그래서 먹구름을 보면 비가오거나 눈이오거나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구름은 물입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물입자의 크기는 다양한 데 입자의 크기에 따라 진동수가 달라지고, 진동수는 색깔을 결 정하게 됩니다. 즉, 가장 작은 입자는 진동수가 많아 파란색 을, 조금 큰 입자는 녹색을, 더 큰 입자는 빨간색을 산란시킵니 다. 맑은 날 하늘에 떠있는 구름은 세가지 크기의 입자가 골고루 분 포하고 있어 산란되는 파란색, 녹색, 빨간색의 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흰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그런데 물입자의 크기가 더 커진 구름의 경우 빛은 흡수되고 산 란되는 빛의 양이 적어지게 되어 먹구름과 같이 어두운 색을 나 타내게 되는 것이죠. 먹구름은 물입자가 크기 때문에 그 무게 로 인해 땅으로 떨어져 비가 되는 것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