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반듯한매미13
반듯한매미1323.01.15

먹구름색이 일반구름과 차이가 나는 이유

비가오기전에 하늘에 구름 색깔을 보면 거무스름한 색깔를 띠는데 일반구름은 흰색인데

먹구름과 일반구름 색깔이 차이가 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6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과 일반 흰구름의 색깔에 차이가 있는 것은 구름속의 물방울 크기가 달라서 빛의 산란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흰색 물체는 대부분의 빛을 반사하기 때문에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햇빛이 작은 물체와 만나서 여러 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산란이라고 하는데, 구름속의 미세한 물방울이 대부분의 햇빛을 산란시켜서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구름속의 물방울들이 합쳐져서 크기가 커지게 되면 일부의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색깔이 흰색에서 점점 어두워져서 먹구름으로 보이게 됩니다. 먹구름이 생기는 것은 구름속 물방울의 크기가 커졌다는 의미이고 곧 비가 내릴 수 있다는 신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증기를 많이 함유하고있어 일반구름보다 빛이 더 잘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검게 보이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라는 것은 수증기가 증발해서 모인 것인데요,

    높은 구름은 그만큼 수증기의 양이 적기 때문에

    가볍고 동시에 그만큼 빛의 투과율이 높습니다.

    그래서 하얗게 보입니다.

    그러나 먹구름은 많은 양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무거워집니다.

    그러니 흰구름에 비해서 고도가 낮지요.

    또한 수분, 즉 작은 물방울을 그만큼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빛을 투과하기 보다는 산란을 많이 시킵니다.

    그러니 어두워보일 수밖에 없죠.


  •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을 이루는 물방울과 얼음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곧 비가 내릴 먹구름이 검은 이유는 물방울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물방울이 커지면 빛을 반사하는 양보다 흡수하는 양이 더 커지게 됩니다.

    반사하는 빛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으니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