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잘때가젤이뻐
잘때가젤이뻐22.09.25

흰 구름 먹구름 색깔차이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맑은 날은 흰구름 흐리거나 비오는 날은 먹구름이 끼는데요. 날씨에 따라 구름 색깔이 다른 이유가 뭔가요?

해가 안 비추면 구름색이 회색으로 변하는건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25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검게 보이는 구름은 수직으로 발달한 적운형 구름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구름이 하얗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때문이고, 구름속의 물방울에서 모든색은 산란되어 빛의 원 색인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수직으로 발달한 적운형 구름에서는 상층의 물방울이 빛을 모두 산란, 흡수, 반사 시켜 하층으로 내려오는 빛이 매우 약해져서 빛이 내려오지 못해 검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 적운형 구름을 반대로 하늘 위에서 보면 하얗게 보입니다. 즉 물방울이 많아 곧 비가 내린다는 신호로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수증기와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작은 물분자부터 큰 물분자까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존재하면 특정 파장의 빛만 산란 되지 않고 모든 파장 영역대의 빛이 산란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빛, 노란색 빛, 초록색 빛, 파란색 빛 등 모든 빛이 구름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로부터 산란이 가능하죠. 모든 색의 빛이 산란되고 빛의 합성으로 인해 하얀색 빛으로 우리눈에 들어오게 되어 구름이 하얗게 보입니다.

    먹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방울의 크기가 큽니다(비내리기 직전,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 그래서 빛이 먹구름 내에 물방울에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는것이죠.

    (여기서 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을 이루는 물방울과 얼음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곧 비가 내릴 먹구름이 검은 이유는 물방울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물방울이 커지면서 빛을 반사하는 양보다 흡수하는 양이 더 많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반사하는 빛의 양이 적으니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문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이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가 하늘에 떠 있는 상태라고 합니다. 구름 속의 물방울이 크기가 아주 작을 때는 빛을 흩어지게 만듭니다. 그러니까 빛이 골고루 반사되면서 흰색으로 보이는 거랍니다. 하늘에서 내리는 눈이 흰색으로 보이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하지만 구름 속에서 오르내리던 작은 물방울들이 점점 커지면 빛을 흡수하게 되고 어두워집니다. 깊은 바닷속이 어두운 것처럼 구름이 어두운 것은 그림자와 비슷하게 빛이 통과하지 못해서 어둡게 보이는 것입니다. 구름이 낮게 깔리고 어두워지면, 구름 속의 물방울들이 무거워졌다는 뜻이고, 즉 조금 더 있으면 비가 내린다는 뜻이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해가 안비출수는 없고요

    구름이 막기 때문에 흐린거죠

    색깔차이가 나는 이유는

    흰구름은 입자가 빛을 산란시켜 우리눈에 흰색으로 보이고요

    먹구름은 입자가 빛을 흡수하여 색이 검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은 수증기함유량이 높기때문에 구름도 높고 두껍게 쌓여있습니다.


    때문에 태양빛이 구름을 뚫지못해 구름아래 그림자를 형성합니다.


    감사합니다.